콘텐츠 바로가기
제 1 권 일반 규범
제 1 권 일반 규범교회법
내용
- 제 3 장 성령을 믿나이다
- 683 “성령에 힘입지 않고서는 아무도 ‘예수님은 주님이시다.’ 할 수 없습니다”(1코린 12,3). “하느님께서 당신 아드님의 영을 우리 마음 안에 보내 주셨습니다. 그 영께서 ‘아빠! 아버지!’ 하고 외치고 계십니다”(갈라 4,6). 이러한 신앙의 인식은 성령 안에서만 가능하다. 그리스도와 만나기 위해서는 먼저 성령의 인도를 받아야 한다. 우리보다 앞서 오셔서 우리 안에 신앙을 불러일으키시는 분은 성령이시다. 신앙의 첫 성사인 세례성사를 받음으로써, 성부 안에 근원을 두고 성자 안에서 주어진 ‘생명’은 교회 안에서, 성령을 통하여, 우리에게 개인적으로 내밀하게 전달된다.
- 세례는 성자를 통해서, 성령 안에서, 성부에게서 새롭게 태어나는 은총을 우리에게 줍니다. 왜냐하면 하느님의 성령을 지닌 사람은 ‘말씀’, 곧 성자께 인도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성자께서는 그들을 성부께 소개해 주시고, 성부께서는 그들에게 불사불멸을 주십니다. 그러므로 성령 없이는 하느님의 아들을 볼 수 없으며, 성자 없이는 아무도 성부께 나아갈 수 없습니다. 성부를 아는 것은 성자를 통해서이며 성자를 아는 것은 성령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1)
- 684 성령께서는 당신의 은총으로 우리 신앙을 불러일으키는 데 첫째이시며, 또한 새로운 생명의 전달에서도 첫째이시다. 그 생명은 “하느님 아버지를 알고 아버지께서 보내신 예수 그리스도를 아는 것”이다.2) 반면에 거룩한 삼위의 위격들에 대한 계시에서는 마지막이시다. ‘신학자’인 나지안조의 그레고리오 성인은 이러한 과정을 ‘자상한’ 하느님의 교육법을 통해 설명한다.
- 구약 성경은 성부를 명확하게 선포하고 성자는 모호하게 선포했습니다. 신약 성경은 성자를 분명하게 드러내고 성령의 신성을 엿볼 수 있게 했습니다. 이제 성령께서는 우리 가운데에 사시며 우리가 당신 자신을 더욱 분명히 볼 수 있게 하십니다. 실제로 성부의 신성이 아직 고백되지 않고 있었을 때, 성자를 공공연히 선포하는 것은 현명하지 못한 일이었고, 성자의 신성이 아직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을 때 성급한 표현을 빌려 성령을 마치 가외의 짐처럼 덧붙이는 것도 현명하지 못한 일이었습니다. 삼위일체의 빛은 ‘영광에서 영광으로’ 나아가는 진보와 발전을 통하여 더욱 찬란히 빛날 것입니다.3)
- 685 그러므로 성령을 믿는 것은 곧 성령께서 삼위일체의 한 위격이시며, 성부와 성자와 한 본체로서, “성부와 성자와 더불어 같은 흠숭과 영광을 받으시는 분”4)이심을 고백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삼위일체의 ‘신학’에서 성령의 거룩한 신비가 다루어진다. 그러므로 여기에서는 다만 하느님의 ‘경륜’ 안에서 성령을 다룰 것이다.
- 686 성령께서는 우리를 위한 구원 계획의 처음부터 끝까지 성부와 성자와 함께 일하신다. 그러나 구원을 위한 성자의 강생으로 시작된 이 ‘마지막 때’에 이르러서야 성령께서는 계시되고 주어지고 위격으로 인정되고 받아들여지셨다. 이때에는 새로운 창조의 ‘맏이’이시며 머리이신 그리스도 안에서 완성된 하느님의 이 계획이 성령이 주어짐으로써 교회, 성인의 통공, 죄의 사함, 육신의 부활, 영원한 생명 등으로 인류 안에서 구체화될 것이다.
상단(TOP)으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