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 1 권 일반 규범
제 1 권 일반 규범교회법
내용
- 제1단락 예수님과 이스라엘
- 574 예수님께서 공적인 사명을 시작하신 초기부터, 일부 바리사이들과 헤로데 당원들, 사제들과 율법 학자들은 예수님을 제거하기로 뜻을 모았다.338) 예수님께서 하신 행동들(마귀를 쫓아내심,339) 죄를 용서하심,340) 안식일에 병을 고쳐 주심,341) 율법상의 정결에 대한 독창적 해석,342) 세리와 죄인으로 낙인찍힌 사람들과 가까이 지내심343))을 보고 악의를 가진 어떤 이들은 예수님이 마귀에 들렸다고 의심하기도 했다.344) 예수님께서는 하느님을 모독하고345) 거짓 예언을 한다고346) 비난받았다. 이러한 것들은 율법에 따라 돌로 쳐 죽이는 벌을 받는 종교적 죄였다.347)
- 575 그러므로 예수님의 많은 행동과 말씀은 일반 하느님 백성에게348) 보다는, 요한 복음이 흔히 ‘유다인들’이라고 부르는349) 예루살렘의 종교 지도자들에게 더욱 “반대를 받는 표징”이었다.350) 물론 예수님과 바리사이들의 관계가 단지 논쟁을 벌이는 관계만은 아니었다. 예수님께 닥칠 위험을 미리 알려 주는 것은 바리사이들이다.351) 예수님께서는 마르코 복음 12장 34절에 나오는 율법 학자의 경우처럼, 그들 가운데 몇 사람을 칭찬하시고, 여러 번 바리사이들의 집에서 식사를 하신다.352) 예수님께서는 죽은 이의 부활,353) 신심 행위(자선, 단식, 기도),354) 그리고 하느님을 아버지라고 부르는 관습, 하느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이 계명의 중심이라는 점 등, 하느님 백성의 이 종교 엘리트들이 주장하는 여러 교리에 동조하신다.355)
- 576 많은 이스라엘 사람들 눈에는 예수님이 선택된 백성의 근본 제도를 거슬러 행동하시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한 제도들이란,
- - 성문화된 계율을 완전히 지켜 율법에 복종하며, 바리사이들의 주장대로 구전되는 해석까지도 받아들임으로써 율법에 복종함;
- - 하느님께서 특별한 방식으로 머무르시는 거룩한 장소로서 예루살렘 성전이 지닌 중심적 특성;
- - 어떤 인간도 그 영광을 나누어 가질 수 없는 유일신에 대한 신앙 등이다.
상단(TOP)으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