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비상행동, 종교환경회의, 탈핵시민행동은 9월 16일 서울 용산동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부산 기장군 원자력발전소 고리2호기의 수명연장 심사 중단을 요구하는 1만인 서명과 농성 시작을 알리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단체들은 “고리2호기는 향후 노후 핵발전소 운영 정책의 기준점이자 세계에서 가장 많은 핵발전소가 밀집된 고리단지 인근에 거주하는 380만 부산·울산·경남 시민의 생명과 안전이 달린 중대한 사안”이라며 “주민들이 수명연장 절차 과정에서 안전 문제를 제기했으나 방사선 환경영향 평가의 부실과 중대사고 대책 마련 미비, 사고 관리 계획서 등 안전 평가 문서의 비공개 등 어느 것 하나도 해결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고리1호기를 해체하기로 결정한 마당에, 설비를 공유하는 고리2호기는 재가동하겠다는 것은 불합리하며, 또 다른 위험부담을 초래한다”며 “고리2호기 수명연장 심사를 즉각 중단하고 폐쇄결정을 내리라는 부산 지역 시민사회의 외침에 전국적 동참과 지지를 선언하며 1만 시민의 서명으로 이재명 대통령에게 고리2호기 수명연장 중단을 직접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종교환경회의 공동대표 양기석(스테파노) 신부는 “2011년 후쿠시마 사고가 일어난 이후 독일 사회는 다양한 계층의 논의를 거쳐 완전한 과학 기술은 없다는 인식 하에 핵발전소를 폐기하는 폐쇄하는 정책을 선택했다”며 “새로운 국민주권의 정부라고 하면서 들어선 이재명 정부는 이제 과감히 과거의 관행을 버리고 생명 중심의 사회”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1983년 상업 운전을 시작한 고리2호기는 2023년 4월 설계수명 만료로 가동이 중지됐으나, 원자력안전위원회는 고리2호기 수명연장 여부를 결정하는 심사를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