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 3 편 그리스도인의 삶

제 3 편 그리스도인의 삶가톨릭교리서

내용

  • 제 1 부 인간의 소명: 성령 안의 삶
  • 1699 성령 안에서 사는 삶은 인간의 소명을 완성한다(제1장). 이러한 삶은 하느님 사랑과 인간 유대로 이루어진다(제2장). 이 삶은 곧 무상으로 주어지는 구원을 말한다(제3장).
  • 제 1 장 인간의 존엄성
  • 1700 인간의 존엄성은 인간이 하느님을 닮은 모습으로 창조되었다는 사실에 근거한다(제1절). 인간의 존엄성은 하느님의 참행복에 대한 소명 안에서 완성된다(제2절). 인간은 마땅히 이러한 완성을 자유롭게 지향해야 한다(제3절). 인간은 자신의 의지적 행위로(제4절), 하느님께서 약속하시고 양심이 증명하는 선을 따를 수도, 따르지 않을 수도 있다(제5절). 인간은 자신을 형성하고 내적으로 성장한다. 인간은 육체적 생활과 영적 생활 전체를 자신을 성장시키기 위한 재료로 삼는다(제6절). 은총의 도움으로 인간의 덕행은 성장하며(제7절), 죄를 피하고, 만일 죄를 지었을 때에는 되찾은 아들과 같이1)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의 자비에 자신을 맡긴다(제8절). 이렇게 해서 인간은 완전한 사랑에 이른다.
  • 제1절 하느님의 모상인 인간
  • 1701 “그리스도께서는 하느님 아버지의 신비와 그 사랑의 신비를 알려 주는 그 계시 안에서 인간을 바로 인간에게 완전히 드러내 보여 주시고 인간에게 그 지고의 소명을 밝혀 주신다.”2) 인간은 “보이지 않는 하느님의 모상”(콜로 1,15)이신3) 그리스도 안에서 창조주를 “닮은 모습”으로 창조되었다. 구원자이시며 구세주이신 그리스도 안에서, 원죄 때문에 인간 안에서 일그러진 하느님의 모상은 그 본래의 아름다움이 복원되었고, 하느님의 은총으로 고귀한 품위를 지니게 되었다.4)
  • 1702 모든 사람이 하느님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이 하느님의 모습은 성삼위의 일치를 닮은 인간들의 친교 안에서 뚜렷하게 드러난다(제2장 참조).
  • 1703 불멸의 영혼을5) 받은 인간은 “지상에서 그 자체를 위하여 하느님께서 바라신 유일한 피조물”6)이다. 임신되는 순간부터 인간은 영원한 행복을 향하게 되어 있다.
  • 1704 인간은 성령의 빛과 권능에 참여한다. 인간은 이성으로 창조주께서 정하신 사물들의 질서를 깨달을 수 있으며, 자기 의지로 참된 선을 향하여 스스로 나아갈 능력이 있다. 인간은 “진리와 선을 탐구하며 사랑하는” 데에서7) 자신의 완성을 찾는다.
  • 1705 인간은 그 영혼과 지성과 의지의 능력에 힘입어, “하느님 모습의 탁월한 표징”8)인 자유를 받았다.
  • 1706 인간은 그 이성으로 “선을 사랑하고 실행하며 악을 회피하라.”9)고 촉구하시는 하느님의 목소리를 알아듣는다. 모든 사람은 양심 안에 울려 퍼지고 하느님과 이웃을 사랑하여 이행하는 이 법을 따를 의무가 있다. 도덕적인 삶을 실천하는 것은 인간의 존엄성을 증언한다.
  • 1707 “인간은 그러나 악의 유혹에 넘어가 역사의 시초부터 제 자유를 남용하였다.”10) 인간은 유혹에 넘어가 악을 저질렀다. 인간은 선에 대한 갈망을 계속 간직하고 있지만 그 본성은 원죄의 상처를 지니고 있다. 인간은 악으로 기울게 되었고, 쉽게 잘못을 저지르게 되었다.
  • 인간은 자신 안에서 분열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인간의 모든 삶은 개인 생활이든 사회생활이든 참으로 선과 악, 빛과 어둠의 극적인 투쟁으로 드러난다.11)
  • 1708 그리스도께서는 수난하심으로써 우리를 사탄과 죄에서 해방시키셨다. 그리스도께서는 성령 안에서 사는 새 생명을 우리에게 주셨다. 그리스도의 은총은 죄가 우리 안에서 훼손한 것을 회복한다.
  • 1709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은 하느님의 자녀가 된다. 이처럼 하느님의 자녀가 되면 그리스도의 모범을 따를 능력을 얻어 변화되며, 올바로 행동하고 선을 행할 능력을 지니게 된다. 제자는 자신의 구세주와 일치함으로써 완전한 사랑과 성덕에 이른다. 은총으로 성숙해진 도덕적 삶은 하늘의 영광 속에서 영원한 생명으로 피어난다.
  • 간추림
  • 1710 “그리스도께서는 인간을 바로 인간에게 완전히 드러내 보여 주시고 인간에게 그 지고의 소명을 밝혀 주신다.”12)
  • 1711 영혼과 지성과 의지를 지닌 인간은 임신되는 순간부터 이미 하느님을 향하고, 영원한 행복을 향하게 되어 있다. 인간은 진리와 선을 탐구하며 사랑함으로써13) 자신의 완성을 추구한다.
  • 1712 참된 자유는 인간 안에 있는 “하느님 모습의 탁월한 표징”14)이다.
  • 1713 인간은 “선을 사랑하고 실행하며 악을 회피하라.”15)고 촉구하는 도덕률을 따라야 한다. 이 법은 그의 양심 안에 울려 퍼진다.
  • 1714 원죄 때문에 본성에 상처를 입은 인간은 자유를 행사하는 데에서 쉽게 잘못을 저지르며 악으로 기우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 1715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은 성령 안에서 새 삶을 누린다. 은총으로 자라고 성숙해진 도덕적 삶은 하늘의 영광 안에서 완성된다.
  • 제2절 참행복에 부름 받은 우리의 소명
  • I. 참행복
  • 1716 ‘참행복’은 예수님께서 하신 설교의 핵심이다. 행복 선언은 바로 아브라함 이후 선택된 민족에게 주신 약속을 반복하신 것이다. 이 약속들은 더 이상 지상에서 누리는 기쁨에 그치지 않고 하늘 나라를 차지하게 됨으로써 완성된다.
  • 행복하여라, 마음이 가난한 사람들! 하늘 나라가 그들의 것이다.
  • 행복하여라, 슬퍼하는 사람들! 그들은 위로를 받을 것이다.
  • 행복하여라, 온유한 사람들! 그들은 땅을 차지할 것이다.
  • 행복하여라, 의로움에 주리고 목마른 사람들! 그들은 흡족해질 것이다.
  • 행복하여라, 자비로운 사람들! 그들은 자비를 입을 것이다.
  • 행복하여라, 마음이 깨끗한 사람들! 그들은 하느님을 볼 것이다.
  • 행복하여라, 평화를 이루는 사람들! 그들은 하느님의 자녀라 불릴 것이다.
  • 행복하여라, 의로움 때문에 박해를 받는 사람들! 하늘 나라가 그들의 것이다.
  • 사람들이 나 때문에 너희를 모욕하고 박해하며, 너희를 거슬러 거짓으로 온갖 사악한 말을 하면, 너희는 행복하다! 기뻐하고 즐거워하여라. 너희가 하늘에서 받을 상이 크다. 사실 너희에 앞서 예언자들도 그렇게 박해를 받았다(마태 5,3-12).
  • 1717 참행복은 예수 그리스도의 참모습을 묘사하고 그분의 사랑을 표현한다. 참행복은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과 부활의 영광에 참여하는 신자들의 소명을 나타내며, 그리스도인의 독특한 생활양식과 태도를 밝혀 준다. 참행복은 고난 가운데에서 희망을 북돋아 주는 역설적인 약속들이다. 참행복은 희미하긴 하지만 이미 제자들이 받은 축복과 약속들을 선포하며, 그것은 동정 마리아와 모든 성인의 삶에서 실현되기 시작했다.
  • II. 행복에 대한 인간의 갈망
  • 1718 참행복은 행복에 대한 인간 본성의 갈망에 부응한다. 이 갈망의 근원은 하느님께 있다. 하느님께서는 인간의 마음을 당신께 이끌기 위해 그 마음 안에 이 갈망을 심어 주셨으며, 하느님께서는 이러한 갈망을 채워 주실 수 있는 유일한 분이시다.
  • 우리 모두가 행복하게 살기를 원한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그리고 완전히 표현되기 전이라고 해도, 이 명제에 동의하지 않을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입니다.16)
  • 주님, 어떻게 당신을 찾아야 합니까- 당신을 찾는 것이 행복한 삶을 찾는 것이오니, 제 영혼이 살도록 당신을 찾게 해 주십시오. 제 육체는 제 영혼으로 말미암아 살고 제 영혼은 당신으로 말미암아 살기 때문입니다.17)
  • 하느님께서만 만족을 주실 수 있다.18)
  • 1719 참행복은 인간 존재의 목적과 인간 행위의 궁극적 목표를 드러내 보인다. 하느님께서는 우리를 당신의 행복으로 부르신다. 이 소명에 각자가 개별적으로 부름 받고 있지만, ‘약속’을 받고 그 믿음 안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새로운 백성인 교회 전체도 같은 부름을 받고 있다.
  • III. 그리스도인의 행복
  • 1720 신약 성경은 하느님께서 인간을 부르시는 행복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로 표현한다. 곧, 하느님 나라의 도래,19) “행복하여라, 마음이 깨끗한 사람들! 그들은 하느님을 볼 것이다.”(마태 5,8)20) 하고 말씀하셨듯이 하느님을 보는 것, 주님의 기쁨에 참여함,21) 하느님의 안식에 들어감22) 등으로 표현한다.
  • 그곳에서 우리는 안식하며 볼 것이고, 보고 사랑할 것입니다. 그리고 사랑하고 찬미할 것입니다. 마침내 끝이 없게 될 것입니다. 그러니 끝이 없을 나라에 다다르는 것 말고 무슨 다른 목적을 가지겠습니까-23)
  • 1721 하느님께서 우리를 지상에 두신 것은 당신을 알고 당신을 섬기고 사랑하여 천국에 이르도록 하려는 것이다. 참행복으로 우리는 “하느님의 본성에 참여하고”(2베드 1,4) 영원한 생명에 참여하게 된다.24) 참행복과 더불어 인간은 그리스도의 영광 안으로 들어가며25) 삼위께서 누리시는 생명의 기쁨에 들어가게 된다.
  • 1722 이러한 행복은 인간의 지성과 능력을 넘어선다. 이는 하느님께서 거저 주시는 선물의 결과이다. 그러므로 인간이 하느님의 기쁨 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은총과 같이, 참행복은 초자연적인 것이라고 불린다.
  • “행복하여라, 마음이 깨끗한 사람들! 그들은 하느님을 볼 것이다.” 물론 하느님의 위대하심과 하느님의 형언할 수 없는 영광 때문에 “하느님을 뵙고도 살 수 있는 사람은 없다.” 성부는 우리가 파악할 수 없는 분이시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인간에 대한 사랑과 인자하심과 전능으로 당신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당신을 뵙는 특권을 주기까지 하신다.……“사람들에게 불가능한 것도 하느님께는 가능하기 때문이다.”26)
  • 1723 참행복에 대한 약속으로 우리는 결정적인 도덕적 선택 앞에 서게 된다. 참행복은 우리 마음에 있는 악한 본능을 정화하고, 무엇보다 우선 하느님을 사랑하도록 권유한다. 그것은 진정한 행복이 부나 안락에 있지 않고, 인간적인 영예나 권력에도 있지 않으며, 제아무리 유용해도 과학이나 기술, 예술 등 인간 업적에도 있지 않으며, 어떤 피조물 안에도 있지 않고 오로지 모든 선과 사랑의 근원이신 하느님께만 있다고 가르친다.
  • 오늘날에는 부가 가장 큰 우상입니다. 군중이, 인간 대중 전체가 부를 본능적으로 섬깁니다. 사람들은 재산으로 행복을 재고 또 재산으로 명예를 저울질합니다.……이 모든 것은 재물이면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 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재물은 오늘날 하나의 우상이며 명성은 또 다른 우상입니다.……명성, 곧 세상에 알려지고 세상을 떠들썩하게 하는 것 그 자체가 최상의 선인 양, 그리고 참된 숭배의 대상인 양 여겨지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이를 여론에 의한 명성이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27)
  • 1724 십계명과 산상 설교와 사도들의 가르침은 하늘 나라로 인도하는 길을 말해 준다. 우리는 성령의 은총으로 지탱되는 일상의 행위들로써 한 걸음 한 걸음 그 길로 걸어 들어간다. 우리는 그리스도의 말씀으로 풍요롭게 되어 교회 안에서 서서히 하느님의 영광을 위한 열매를 맺게 된다.28)
  • 간추림
  • 1725 참행복은 아브라함 이후 하느님께서 하신 약속들을 한데 모으며 완성하고, 하늘 나라를 향하게 한다. 참행복은 하느님께서 인간의 마음에 넣어 주신 행복에 대한 갈망에 부응한다.
  • 1726 참행복은 하느님께서 우리를 부르시는 최종 목적을 가르쳐 준다. 그 목적은 하늘 나라, 하느님을 뵈옴, 하느님의 본성에 참여함, 영원한 생명, 하느님의 자녀가 됨, 하느님 안에서 누리는 안식이다.
  • 1727 영원한 생명의 행복은 하느님께서 거저 주시는 선물이다. 영원한 생명으로 이끄는 은총과 마찬가지로 참행복도 초자연적인 것이다.
  • 1728 참행복은 우리를 지상의 행복에 대한 결정적인 선택 앞에 서게 한다. 참행복은 우리의 마음을 정화하여 모든 것 위에 하느님을 사랑하도록 가르친다.
  • 1729 천상 행복은 이 세상 재화를 하느님의 법에 맞게 쓰는 식별의 기준을 결정한다.
  • 제3절 인간의 자유
  • 1730 하느님께서는 인간을 이성적인 존재로 창조하시어 인간에게 자발성과 자제력을 바탕으로 자신의 행위를 다스릴 수 있는 인격의 존엄성을 주셨다. “하느님께서는 ‘인간을 제 의지의 손에 내맡기고자’(집회 15,14) 하셨다. 그것은 인간이 자유 의지로 자신의 창조주를 찾아 그분을 따르며 자유로이 충만하고 복된 완전성에 이르도록 바라신 것이다.”29)
  • 인간은 이성을 지녔으며, 이 때문에 하느님과 비슷합니다. 그는 자유롭고 자신의 행위를 자제할 수 있도록 창조되었습니다.30)
  • I. 자유와 책임
  • 1731 자유는 이성과 의지에 바탕을 둔, 행하거나 행하지 않을 수 있는 능력이며, 이것을 하거나 또는 저것을 하는 능력이고, 이처럼 스스로 숙고해서 행동하는 능력이다. 각 사람은 자유 의지에 따라 자신의 삶을 이루어 나간다. 인간은 진리와 선 안에서 자유를 통하여 성장하고 성숙한다. 자유는 우리의 행복이신 하느님을 향할 때 완전하게 된다.
  • 1732 자유는 그 최종 선이신 하느님께 결정적으로 정착하기까지는 선과 악 사이의 선택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완덕을 향해 성장할 수도 있고 퇴보하여 죄를 지을 수도 있다. 자유는 인간 행위의 고유한 특징이다. 자유는 칭찬이나 비난, 공로나 허물의 근거가 된다.
  • 1733 선을 행하면 행할수록 더욱 자유로워진다. 선과 정의를 위해 봉사할 때에만 참자유를 얻는다. 불순명과 악을 선택하는 것은 자유의 남용이며 “죄의 종”이31) 되게 한다.
  • 1734 자유는 인간이 행위의 자발성에 따라 자기 행동에 대하여 책임지도록 한다. 덕의 진보와 선에 대한 인식과 금욕적 삶의 진보는 자신의 행위에 대한 의지의 통제력을 성장시킨다.
  • 1735 어떤 행동에 대한 인책성(引責性)과 책임은 무지, 부주의, 폭력, 공포, 습관, 무절제한 감정과 그 외에 정신적 사회적인 요인들 때문에 줄어들거나 없어질 수도 있다.
  • 1736 직접 원해서 행한 모든 행위는 그 행위자에게 책임이 있다.
  • 에덴 동산에서 아담이 죄를 지은 후 주님께서는 “너는 어찌하여 이런 일을 저질렀느냐-”(창세 3,13) 하고 물으시며, 카인에게도 그렇게 물으신다.32) 그리고 예언자 나탄도, 우리야의 아내와 간통하고 우리야를 죽인 다윗 임금에게 그렇게 묻는다.33)
  • 사람들이 알았거나 했어야 할 것을 소홀히 한 결과로 저질러진 행위는 간접적인 고의에 따른 행위일 수 있다. 교통 법규에 대한 무지 때문에 발생한 교통사고가 그러한 예이다.
  • 1737 어떠한 결과가 행위자가 원하지 않았는데도 일어났을 경우에는 용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든 자식을 간호하다가 그 어머니가 죽을 지경이 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위험에 빠진 사람을 구하다가 죽게 되는 경우처럼, 나쁜 결과가 행위의 목적으로든 수단으로든 의도된 것이 아니라면 책임을 물을 수 없다. 결과에 대한 책임을 물으려면 술 취한 상태에서 운전하던 사람이 저지르게 되는 살인처럼 그 결과를 예측할 수 있어야 하고, 또 행위자가 그 결과를 피할 수 있는 경우라야 한다.
  • 1738 자유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에서 행사된다. 하느님의 모습으로 창조된 인간은 누구나 자유롭고 책임 있는 존재로 인정받을 타고난 권리를 지니고 있다. 모든 사람은 각자의 이러한 권리를 존중할 의무를 지니고 있다. 자유를 행사할 권리는 인간의 존엄성과 분리될 수 없으며 도덕적, 종교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특히 그러하다.34) 국가는 공동선과 공공질서의 범위 안에서 이러한 권리를 인정하고 보호해야 한다.35)
  • II. 구원 경륜에서 본 인간의 자유
  • 1739 자유와 죄. 인간의 자유는 유한하며, 잘못될 수 있다. 실제로 인간은 잘못을 저질렀다. 자유로이 죄를 지은 것이다. 인간은 하느님의 사랑의 계획을 거부하여 스스로 자기를 배신하고 죄의 노예가 되었다. 이 최초의 소외는 다른 많은 소외를 초래하였다. 시초부터 인류의 역사는 자유를 오용한 결과로 인간의 마음에 일어난 불행과 억압을 증언하고 있다.
  • 1740 자유에 대한 위협. 자유의 행사는 무엇이든 말하고 행할 권리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자유의 주체인 인간은 지상의 재화를 즐길 때 자신의 이익을 충족시키고자 하는 목적만으로도 충분히 만족한다.”36)는 주장은 잘못이다. 한편 자유를 정당하게 행사하는 데에 필요한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분야의 조건들이 너무도 자주 무시되고 침해되고 있다. 이러한 맹목적이고 불의한 상황들은 도덕적 삶을 짓누르며, 사랑을 어기고 죄를 짓도록 강자와 약자를 모두 유혹한다. 인간은 윤리적 규범에서 벗어남으로써 자신의 자유를 손상시키고, 자신을 속박하며, 이웃에 대한 우애를 파괴하고, 하느님의 진리를 거역하게 된다.
  • 1741 자유와 구원. 그리스도께서는 당신의 영광스러운 십자가로 모든 인간의 구원을 성취하셨다. 그분은 인류를 노예로 만든 죄에서 사람들을 구원하셨다. “그리스도께서는 우리를 자유롭게 하시려고 해방시켜 주셨습니다”(갈라 5,1).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자유롭게 하는 진리”와37) 일치한다. 우리는 성령을 받았고, 바오로 사도가 말하듯이 “주님의 영이 계신 곳에는 자유가 있다”(2코린 3,17). 이미 우리는 “하느님의 자녀들이 누리는 영광의 자유”를38) 누린다.
  • 1742 자유와 은총. 우리의 자유가 하느님께서 인간의 마음에 넣어 주신 진리와 선을 분별하는 능력과 맞을 때, 그리스도의 은총은 우리의 자유와 전혀 배치되지 않는다. 오히려 그리스도인들의 체험으로는 특히 기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은총의 작용에 온순히 따르면 따를수록, 시련 가운데 또 외적 억압과 속박 앞에서 우리의 내적 자유와 확신은 더욱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은총의 작용으로 성령께서는 우리에게 영적 자유를 가르쳐 주시어 교회와 세상 안에서 당신 일의 자유로운 협력자가 되게 하신다.
  • 전능하시고 자비로우신 주 하느님, 하느님께 나아가는 데에 해로운 모든 것을 멀리 물리쳐 주시어 저희 몸과 마음을 평온하게 하시고 자유로이 주님의 뜻을 따르게 하소서.39)
  • 간추림
  • 1743 하느님께서는, 인간을 “제 의지의 손에 내맡기시기를”(집회 15,14) 원하셨고, 창조주를 자유로이 따름으로써 완전한 행복에 이르기를 바라신다.40)
  • 1744 자유는 행하거나 행하지 않는 능력이며, 따라서 스스로 의도하여 행동하는 능력이다. 자유는 최고선이신 하느님을 향할 때 그 행위의 완전함에 이른다.
  • 1745 자유는 인간 행위의 고유한 특징이다. 자유는 인간에게 자신이 행하는 행동에 대한 책임을 지운다. 숙고한 후의 행위는 그 자신의 것이다.
  • 1746 무지, 폭력, 공포나 그 밖의 정신적 또는 사회적 요인들은 어떤 행위에 대한 인책성이나 책임을 줄이거나 없앨 수도 있다.
  • 1747 자유를 행사할 권리는 인간의 존엄성과 분리할 수 없는 것이며 도덕적, 종교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특히 그러하다. 그러나 자유의 행사에는 무엇이든지 행하고 말할 거짓 권리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 1748 “그리스도께서는 우리를 자유롭게 하시려고 해방시켜 주셨습니다”(갈라 5,1).
  • 제4절 인간 행위의 도덕성
  • 1749 인간은 자유로써 도덕적 주체가 된다. 인간이 의도적인 행동을 할 때, 그는 이를테면 그 행위의 주인이 된다. 인간의 행위, 곧 의식의 판단에 근거하여 자유로이 행한 행위들은 도덕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 그것들은 선하거나 악한 것이다.
  • I. 도덕성의 근원
  • 1750 인간 행위의 도덕성은 다음과 같은 것들에 달려 있다.
  • - 선택된 대상.
  • - 의도하는 목적이나 의향.
  • - 행위의 정황.
  • 대상과 의향과 정황은 인간 행위의 도덕성의 ‘근원’, 곧 구성 요소가 된다.
  • 1751 선택된 대상이란 의지가 의도적으로 지향하는 선을 말한다. 그것은 인간 행위의 질료이다. 선택된 대상은 이성이 인지하고 그것이 참된 선에 부합하느냐 그렇지 않느냐를 판단함에 따라서 이루어진 의지의 행위를 도덕적으로 규정한다. 도덕성의 객관적 기준들은 양심에 따라 입증된 선악의 합리적 질서를 일러 준다.
  • 1752 의향은 대상과는 대조적으로 행위의 주체 편에 자리 잡고 있다. 의향은 행위의 자발적 근원과 가까운 것이면서, 목적을 통해 그 행위를 결정짓기 때문에 행위의 도덕성을 평가하기 위한 핵심 요소이다. 목적은 의향의 첫 번째 귀결점이며 행위가 추구하는 목표를 가리킨다. 의향은 목적을 향한 의지의 움직임이며, 행위의 귀결점과 관련된다. 의향은 의도된 행동이 기대하는 선을 지향한다. 의향은 우리의 개별 행위들의 방향을 잡아 주는 데 머물지 않고, 여러 행위들을 동일한 목적으로 향하게 할 수 있고, 또 삶 전체를 궁극적 목적으로 향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봉사는 이웃을 돕는 것이 목적이지만, 동시에 우리의 모든 행위의 궁극적 목적인 하느님에 대한 사랑으로 고무될 수 있다. 상대방의 호의를 얻거나 또는 자랑하기 위해서 봉사를 하는 경우처럼, 동일한 행동도 여러 가지 의향을 지닐 수 있다.
  • 1753 선한 의향(예를 들어, 이웃을 돕는 것)은 그 자체로 무질서한 행동(거짓말이나 비방)을 선하게 하거나 정당화하지 않는다. 목적은 수단을 정당화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국민을 구하는 합법적 수단으로 죄 없는 사람을 단죄하는 일은 정당화될 수 없다. 반대로, 그 자체로는 선한 행위일 수 있지만(자선 행위와 같은 것) 나쁜 의향(예컨대, 허영)이 개입할 경우에 그런 행위는 악한 행위가 된다.41)
  • 1754 결과들이 포함되어 있는 정황은 윤리적 행위의 부차적 요인이다. 정황은 인간 행위의 윤리적 선악을 가감시킨다(예를 들어, 도둑질한 돈의 액수). 또 정황은 행위자의 책임도 가감시킨다(죽음의 공포 때문에 저지른 행위 등). 정황 자체가 행위의 도덕적 특성을 변화시킬 수는 없다. 정황은 악한 행위 자체를 선하게 하거나 정당화할 수 없다.
  • II. 선행과 악행
  • 1755 도덕적으로 선한 행위가 되려면 대상과 목적과 정황이 모두 선해야 한다. 악한 목적은 행위의 대상 자체는 선하더라도(남들에게 보이기 위한 기도나 단식) 그 행위를 타락시킨다.
  • 선택의 대상은 그 자체로도 행위 전체를 그릇되게 만들 수 있다. 어떤 구체적 행위들 ─ 간음과 같은 행위 ─ 의 선택은 언제나 잘못이다. 그 선택에는 의지의 무질서, 곧 윤리적 악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 1756 그러므로 행위를 일으키는 의향이나 그 행위의 테두리를 이루는 정황(환경, 사회적 압력, 행동에 대한 강제나 필요성 등)만을 고려하여 도덕성을 판단하는 것은 잘못이다. 정황이나 의향과는 관계없이 그 대상 때문에 그 자체가 심각한 잘못이 되는 행위들이 있다. 하느님을 모독하는 말과 거짓 맹세, 살인과 간통 등이 그러하다. 선한 결과를 얻으려고 악을 행하는 것은 용납되지 않는다.
  • 간추림
  • 1757 대상과 의향과 정황은 인간 행위의 도덕성의 세 가지 ‘요인’이다.
  • 1758 선택된 대상은 이성이 그 대상의 선악을 분별하여 판단함에 따라 의지의 행위를 도덕적으로 규정한다.
  • 1759 “선한 의향으로 행한 악한 행위는 정당화될 수 없다.”42)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하지 않는다.
  • 1760 도덕적으로 선한 행위가 되려면 대상과 목적과 정황이 모두 선해야 한다.
  • 1761 어떤 행위들은 그 선택에 무질서한 의지, 곧 윤리적 악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그것을 선택하는 것은 언제나 잘못이다. 선한 결과를 얻으려고 악을 행하는 것은 용납되지 않는다.
  • 제5절 감정의 도덕성
  • 1762 인간은 자신의 자유로운 행위로써 행복을 지향하고 있다. 인간이 느끼는 감정(passio)이나 느낌은 행복으로 나아가게 할 수 있고, 그를 위해 도움이 되기도 한다.
  • I. 감정
  • 1763 ‘감정’(passio)이라는 말은 그리스도인들의 유산에 속한다. 느낌이나 감정은 선하거나 악한 것으로 느끼고 상상한 것을 행하거나 행하지 않게 하는, 한쪽으로 기우는 정서나 감수성의 움직임을 가리킨다.
  • 1764 감정은 인간 심리의 자연적인 요소로서, 감성적 생활과 정신적 생활을 영위하는 장(場)을 마련해 주며, 그 둘 사이의 통로를 보장해 준다. 우리 주님께서는 사람의 마음을 감정이 솟아나는 원천이라고 일컬으신다.43)
  • 1765 감정에는 여러 유형이 있다. 가장 근본적인 감정은 선에 대한 이끌림에서 일어나는 사랑이다. 사랑은 이루어지지 않은 선에 대한 갈망과, 그 선을 달성하려는 희망을 불러일으킨다. 이 움직임은 얻은 선에 대한 즐거움과 기쁨으로 충족된다. 악에 대한 지각은 앞으로 일어날 악에 대한 증오와 혐오와 공포를 불러일으킨다. 이 움직임은 현존하는 악에 대한 슬픔이나 거기에 대항하는 분노로 결말이 난다.
  • 1766 “사랑은 누군가가 잘되기를 바라는 것이다.”44) 다른 모든 애정의 근원은 선을 향한 인간 마음의 원초적인 움직임이다. 사랑해야 할 것은 오직 선뿐이다.45) “사랑이 악하면 감정이 악하고, 사랑이 선하면 감정이 선하다.”46)
  • II. 감정과 도덕적 삶
  • 1767 감정 자체는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다. 감정은 실제로 이성과 의지로 일어나는 한에서만 도덕적 평가를 받는다. 감정은 “의지의 자극을 받기 때문에, 또는 의지가 막지 않기 때문에”47) 의지적인 것이라고 불린다. 이성으로 감정이 조절되는 것은 도덕적 또는 인간적 선의 완전함을 드러내는 것이다.48)
  • 1768 고상한 감정들이 인간의 도덕성이나 성덕을 결정하지는 않는다. 그것은 도덕적 삶이 표현되는 표상과 감정의 고갈되지 않는 창고와 같다. 감정이 선한 행위에 이바지할 때에는 도덕적으로 선하며, 그 반대 경우에는 악하다. 올바른 의지는 감각적 움직임들을 받아들여 선과 행복을 향하게 하지만, 악한 의지는 무질서한 감정에 굴복하며 이를 격화시킨다. 감성과 감정들은 덕행 안에 받아들여지거나 악습으로 바뀔 수 있다.
  • 1769 주님의 지극한 고뇌와 수난에서 드러나듯이, 성령께서는 몸소 인간의 고통과 두려움, 슬픔을 포함한 인간 전체를 움직이심으로써 그리스도인의 삶 안에서 당신의 일을 완수하신다. 그리스도 안에서 인간의 감정은 하느님의 자비와 행복을 통해 완숙해질 수 있다.
  • 1770 인간은 자신의 의지뿐만 아니라, 시편 말씀처럼, 자신의 감각적 요구로도 선으로 나아갈 때 비로소 도덕적 완성을 이룬다. “살아 계신 하느님을 향하여 제 마음과 제 몸이 환성을 지릅니다”(시편 84〔83〕,3).
  • 간추림
  • 1771 ‘감정’이라는 말은 열정이나 감성을 가리킨다. 인간은 자신의 정서를 통해서 선을 예감하고 악을 예측한다.
  • 1772 주요한 감정들은 사랑과 증오, 욕망과 두려움, 기쁨, 슬픔, 분노이다.
  • 1773 감각적 충동으로서 감정은 도덕적으로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다. 그러나 감정이 이성과 의지로 일어날 때, 그 안에 선이나 악이 존재하게 된다.
  • 1774 정서와 감정들은 덕행 안에 받아들여질 수 있고 또는 악습으로 바뀔 수도 있다.
  • 1775 도덕적 선이 완성되는 것은 인간이 자신의 의지뿐만 아니라 자신의 ‘마음’으로도 선으로 나아갈 때이다.
  • 제6절 도덕적 양심
  • 1776 “인간은 양심의 깊은 곳에서 법을 발견한다. 이 법은 인간이 자신에게 부여한 법이 아니라 오로지 인간이 거기에 복종하여야 할 법이다. 그 소리는 언제나 선을 사랑하고 실행하며 악을 회피하도록 부른다. 필요한 곳에서는 마음의 귀에 대고, ‘이것을 하여라.’, ‘저것을 삼가라.’ 하고 타이른다. 이렇게 인간은 하느님께서 자기 마음속에 새겨 주신 법을 지니고 있으므로……. 양심은 인간의 가장 은밀한 핵심이며 지성소이다. 거기에서 인간은 홀로 하느님과 함께 있고 그 깊은 곳에서 하느님의 목소리를 듣는다.”49)
  • I. 양심의 판단
  • 1777 인간의 마음속에 존재하는 도덕적 양심은50) 선을 행하고 악을 피하라고 적절한 때에 명령한다. 그리고 구체적 선택들을 판단하여 옳은 선택은 승인하고 그릇된 선택은 고발한다.51) 도덕적 양심은 ‘최고선’이신 하느님을 기준으로 하여 진리의 권위를 입증하는데, 인간은 이 최고선의 매력에 이끌려 그 명령을 받아들인다. 현명한 사람은, 도덕적 양심에 귀를 기울일 때 하느님 말씀을 들을 수 있다.
  • 1778 도덕적 양심은 이성의 판단으로서, 양심을 통해 인간은 자기가 하려는 행위, 하고 있는 행위, 이미 행한 구체적 행위의 도덕적 가치를 알 수 있다. 인간은 모든 말과 행동에서 자신이 정당하고 옳다고 여기는 것에 충실하게 따라야 한다. 인간은 양심의 판단으로 하느님의 법이 명하는 것을 알고 깨닫는다.
  • 양심은 우리 정신의 법이지만 정신을 넘어서는 법이고, 명령을 내리는 법이며, 책임과 의무, 경외심과 희망을 뜻하는 법이기도 합니다.……양심은 은총의 세계에서와 마찬가지로 자연계에서도 은밀히 말씀하시며 우리를 가르치시고 다스리시는 분의 사자(使者)입니다. 양심은 그리스도의 대리자들 가운데 첫째입니다.52)
  • 1779 각 사람에게 중요한 일은, 자기 양심의 목소리를 듣고 따르기 위하여 자기 자신으로 돌아오는 것이다. 우리의 생활은 흔히 반성이나 자기 성찰 또는 내면화가 어려운 실정이어서, 이러한 내면성(內面性)이 더 절실히 요구된다.
  • 양심으로 돌아가 물어보십시오.……형제들이여, 내면으로 돌아가 그대들이 하는 모든 일의 증인이신 하느님을 바라보십시오.53)
  • 1780 인간의 존엄성은 도덕적 양심의 정직성을 내포하며 이를 요구한다. 도덕적 양심에는 도덕적 원칙(synderesis)들을 인지하는 일, 이성과 선의 구체적 식별을 통해 이 원칙들을 주어진 상황 안에 적용시키는 일, 따라서 구체적으로 행하고자 하는 행위나 이미 행한 행위에 대해 판단을 내리는 일이 포함된다. 이성의 법 안에 표명된 윤리적 선에 관한 진리는 도덕적 양심의 현명한 판단을 통해 실제적이고도 구체적으로 식별된다. 이러한 판단에 맞는 선택을 하는 사람이 현명한 사람이다.
  • 1781 양심은 자신이 행한 행위들에 대해 책임질 수 있게 한다. 만일 인간이 악을 저지르면 양심의 공정한 판단은 그 사람 안에 보편적 진리인 선의 증거로 남고, 또한 동시에 그 부당한 선택에 대한 악의 증거로서 그 안에 남는다. 양심이 판단하는 판결은 희망과 자비의 보증으로 남는다. 이러한 판결은 저지른 잘못을 증언함으로써, 용서를 청해야 한다는 것, 선을 실천해야 한다는 것, 하느님 은총으로 끊임없이 덕을 닦아야 한다는 것을 환기시킨다.
  • 우리는 하느님 앞에서 마음을 편히 가질 수 있을 것입니다. 마음이 우리를 단죄하더라도 그렇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우리의 마음보다 크시고 또 모든 것을 아시기 때문입니다(1요한 3,19-20).
  • 1782 인간은 스스로 도덕적 판단을 내리기 위해 양심과 자유에 따라 행동할 권리가 있다. 인간은 “자기 양심을 거슬러 행동하도록 강요받아서는 안 되며, 특히 종교 문제에서 자기 양심에 따라 행동하는 데 방해를 받아서는 안 된다.”54)
  • II. 양심의 형성
  • 1783 양심은 형성되어야 하고, 도덕적 판단은 계발되어야 한다. 잘 형성된 양심은 바르고 진실하다. 잘 형성된 양심은 이성에 따라, 창조주의 지혜가 원하는 참된 선에 맞는 판단을 내린다. 부정적 영향을 받기 쉽고, 자신의 판단을 앞세우며 권위 있는 가르침을 거부하도록 죄의 유혹을 받고 있는 인간에게는 양심 교육이 필요하다.
  • 1784 양심 교육은 온 생애에 걸친 일이다. 양심 교육은 어렸을 때부터 어린아이에게 도덕적 양심으로 깨닫게 된 내적 법을 인정하고 실천하도록 일깨운다. 현명한 교육은 덕을 가르치며, 인간의 약함과 잘못에서 생기는 공포, 이기심, 교만, 죄책감과 자기만족에 대한 충동 등에서 보호하거나 이를 치유해 준다. 양심 교육은 자유를 보장해 주며 마음의 평화를 준다.
  • 1785 양심의 형성에서 하느님 말씀은 우리의 길을 비추는 빛이다. 우리는 신앙과 기도 안에서 하느님 말씀을 자신의 것으로 삼아, 그 말씀을 실천해야 한다. 그리고 주님의 십자가 앞에서 우리의 양심을 성찰해야 한다. 우리는 성령께서 주신 선물의 도움을 받고, 다른 이들의 증언이나 충고로 힘을 얻으며, 교회의 권위 있는 가르침의 인도를 받는다.55)
  • III. 양심에 따른 선택
  • 1786 도덕적 선택 앞에서 양심은 이성과 하느님의 법에 맞는 바른 판단을 내릴 수도 있고, 그와 반대로 이성과 하느님의 법에서 거리가 먼 그릇된 판단을 내릴 수도 있다.
  • 1787 인간은 때로 도덕적으로 명확하게 판단하기 어렵고, 결정을 내리기 힘든 상황에 부딪히게 된다. 그럼에도 늘 정당하고 선한 것을 찾아야 하며 하느님의 법에 담긴 그분의 뜻을 식별해야 한다.
  • 1788 이를 위해 인간은 신중함의 덕과, 현명한 사람들의 조언과, 성령의 도움과 선물에 힘입어, 경험의 자료와 시대의 징표를 해석하려고 노력한다.
  • 1789 아래 몇 가지 규칙은 모든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 - 선한 결과를 얻으려고 악을 행하는 것은 결코 허용될 수 없다.
  • - “남이 너희에게 해 주기를 바라는 그대로 너희도 남에게 해 주어라”(마태 7,12).56) 이것이 ‘황금률’이다.
  • - 사랑은 항상 이웃과 그의 양심에 대한 존중을 전제로 한다. “여러분이 이렇게 형제들에게 죄를 짓고 약한 그들의 양심에 상처를 입히는 것은 그리스도께 죄를 짓는 것입니다”(1코린 8,12). “그대의 형제에게 장애물이 되는 일은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로마 14,21).
  • IV. 그릇된 판단
  • 1790 인간은 언제나 양심의 확실한 판단에 따라야 한다. 고의로 이런 판단을 거슬러 행동한다면 이것은 자신을 단죄하는 일이 될 것이다. 그러나 도덕적 양심이, 하고자 하는 행위나 이미 행한 행위에 대해서 알지도 깨닫지도 못할 수 있고 그릇된 판단을 내릴 수도 있다.
  • 1791 이러한 무지는 많은 경우에 자신의 책임이다. “사람이 진리와 선을 추구하는 데에 조금도 관심을 두지 않고 죄의 습관으로 양심이 차츰 거의 다 어두워졌을 때에”57) 그런 일이 일어난다. 이 경우에 자신이 저지르는 악에 대해 책임이 있다.
  • 1792 그리스도와 그분의 복음에 대한 무지, 다른 이들이 주는 나쁜 표양, 감정에 사로잡힘, 양심의 자율성을 잘못 이해한 주장, 교회의 권위와 가르침에 대한 거부, 회개와 사랑의 결핍 등은 도덕적 행위에 대한 판단을 빗나가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 1793 만일 ─ 이와 반대로 ─ 무지가 극복될 수 없는 것이거나, 그릇된 판단에 대해 도덕적 주체의 책임이 없는 경우라면 개인이 저지른 악에 대한 책임을 그에게 물을 수 없다. 그렇다고 해도 그것은 여전히 악이고, 부족함이며, 무질서이다. 그러므로 자신의 잘못으로부터 도덕적 양심을 바로잡도록 노력해야 한다.
  • 1794 선하고 순수한 양심은 참된 신앙으로 밝아진다. 왜냐하면 사랑은 “깨끗한 마음과 바른 양심과 진실한 믿음에서”(1티모 1,5)58) 동시에 우러나오기 때문이다.
  • 바른 양심이 우세하면 할수록 개인이나 집단이 무분별한 방종에서 더욱 멀어지고 객관적 도덕 기준에 부합하도록 더욱 노력한다.59)
  • 간추림
  • 1795 “양심은 인간의 가장 은밀한 핵심이며 지성소이다. 거기에서 인간은 홀로 하느님과 함께 있고 그 깊은 곳에서 하느님의 소리를 듣는다.”60)
  • 1796 도덕적 양심은 인간이 구체적 행위의 가치를 알아볼 수 있도록 해 주는 이성의 판단이다.
  • 1797 악을 저지른 사람에게 그의 양심의 판결은 회개와 희망의 보증이 되어 준다.
  • 1798 잘 형성된 양심은 바르며 진실하다. 양심은 창조주의 지혜가 바라는 참된 선에 부합하도록 이성에 따라 판단한다. 누구나 자신의 양심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 1799 도덕적 선택에 직면하여 양심은 이성과 하느님의 법에 부합하는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도 있고, 반대로 거기서 멀어지는 그릇된 판단을 내릴 수도 있다.
  • 1800 인간은 언제나 자기 양심의 확실한 판단에 따라야 한다.
  • 1801 도덕적 양심이 무지에 머물 수도 있고, 그릇된 판단을 내릴 수도 있다. 이러한 무지와 그릇된 판단이 언제나 죄의 책임을 면제해 주는 것은 아니다.
  • 1802 하느님 말씀은 우리 길의 빛이다. 신앙과 기도 안에서 우리는 하느님의 말씀을 자신의 것으로 삼아 이를 실천해야 한다. 양심은 이처럼 형성되는 것이다.
  • 제7절 덕
  • 1803 “형제 여러분, 참된 것과 고귀한 것과 의로운 것과 정결한 것과 사랑스러운 것과 영예로운 것은 무엇이든지, 또 덕이 되는 것과 칭송받는 것은 무엇이든지 다 마음에 간직하십시오”(필리 4,8).
  • 덕(德)은 선을 행하고자 하는 몸에 밴 확고한 마음가짐이다. 덕은 인간이 선한 일을 하게 할 뿐 아니라 최선을 다하도록 한다. 덕이 있는 사람은 자신의 감각적, 영적인 모든 능력을 다해서 선을 향해 나아간다. 그는 구체적인 행동들 안에서 선을 추구하고 이를 선택한다.
  • 덕행 생활의 목적은 하느님을 닮는 것입니다.61)
  • I. 인간적인 덕
  • 1804 인간적인 덕은 지성과 의지의 확고한 태도, 안정된 마음가짐, 몸에 밴 장점 등으로서, 우리의 행동을 규제하고 우리의 감정을 바로잡고 이성과 신앙에 따라 우리의 행위를 이끈다. 덕은 도덕적으로 선한 삶을 용이하게 하며 자제와 기쁨을 준다. 덕성스러운 사람이란 자유로이 선을 실천하는 사람이다.
  • 윤리적 덕은 인간의 노력으로 획득되는 것이다. 이는 도덕적으로 선한 행위들의 씨앗이며 열매이다. 덕은 인간의 모든 능력을 하느님의 사랑과 일치하도록 준비시킨다.
  • 사추덕의 구별
  • 1805 네 가지 덕이 ‘중추적’ 구실을 한다. 그러므로 이 네 가지 덕을 ‘사추덕’(四樞德)이라고 부른다. 다른 모든 덕은 이 네 가지 덕을 중심으로 묶을 수 있다. 사추덕은 현명, 정의, 용기, 절제이다. “누가 의로움을 사랑하는가- 지혜의 노고에 덕이 따른다. 정녕 지혜는 절제와 예지를, 정의와 용기를 가르쳐 준다”(지혜 8,7). 이 덕들은 성경의 여러 부분에서 다른 이름으로 찬양된다.
  • 1806 현명은 모든 상황에서 우리의 참된 선을 식별하고 그것을 실행할 올바른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실천 이성을 준비시키는 덕이다. “영리한 이는 제 발걸음을 살핀다”(잠언 14,15). “마음을 가다듬고 정신을 차려 기도하십시오”(1베드 4,7). 토마스 데 아퀴노 성인은 아리스토텔레스를 따라 현명은 “올바른 행동 규범”62)이라고 말한다. 현명은 주저나 공포, 은폐나 위선과 혼동되어서는 안 된다. 현명은 ‘덕의 마부(馬夫)’(auriga virtutum)라고 불린다. 곧 현명은 다른 덕들에게 규율과 척도를 일러 줌으로써 그것들을 이끈다. 양심의 판단을 직접 인도하는 것은 현명이다. 현명한 사람은 이 판단에 따라 자신의 행동을 결정하고 규제한다. 이 덕으로 우리는 구체적인 경우에 윤리적 원칙을 오류 없이 적용하며 이루어야 할 선과 피해야 할 악에 대한 의심을 극복한다.
  • 1807 정의는 윤리적인 덕으로서, 마땅히 하느님께 드릴 것을 드리고 이웃에게 주어야 할 것을 주려는 지속적이고 확고한 의지이다. 하느님을 향한 정의를 ‘경신덕’(敬神德, virtus religionis)이라고 부른다. 사람을 대상으로 할 때는 각자의 권리를 존중하도록 하고, 사람들에 대한 공평과 공동선을 촉진시키는 조화를 인간관계 안에 확립하도록 하는 것이 정의이다. 성경에 자주 나오는 “의로운” 사람은 사고의 올바름이 몸에 배고 이웃에게 올바르게 행동하는 사람이다. “너희는 가난한 이라고 두둔해서도 안 되고, 세력 있는 이라고 우대해서도 안 된다. 너희 동족을 정의에 따라 재판해야 한다”(레위 19,15). “주인 여러분, 종들을 정당하고 공정하게 다루십시오. 여러분에게도 하늘에 주인이 계시다는 것을 알아 두십시오”(콜로 4,1).
  • 1808 용기는 어려움 중에도 단호하고 꾸준하게 선을 추구하도록 하는 윤리적 덕이다. 용기는 도덕적 삶에서 유혹을 이기고 장애를 극복하고자 하는 결심을 확고하게 해 준다. 용기는 공포를, 심지어 죽음의 공포까지도 이겨 내게 하며, 시련과 박해에 맞서게 해 준다. 용기는 정당한 일을 옹호하기 위해 자신을 버리고 목숨까지 바칠 수 있게 한다. “주님은 나의 힘, 나의 굳셈, 나에게 구원이 되어 주셨네”(시편 118[117],14). “너희는 세상에서 고난을 겪을 것이다. 그러나 용기를 내어라. 내가 세상을 이겼다”(요한 16,33).
  • 1809 절제는 쾌락의 유혹을 조절하고 창조된 재화를 사용하는 데에 균형을 유지하게 해 주는 윤리적 덕이다. 절제는 본능에 대한 의지의 억제력을 보장하고, 욕망을 단정함 안에 묶어 둔다. 절도 있는 사람은 그의 감각적 욕망이 선을 향하게 하고, 건전한 조심성을 지킨다. 자신의 정력만 믿고서 탐욕에 빠지는 일이 없게 한다.63) 구약 성경은 절제를 자주 칭송한다. “네 욕망을 따르지 말고 욕심을 절제하여라”(집회 18,30). 신약 성경은 절제를 ‘중용’ 또는 ‘신중’이라고 한다. 우리는 “이 현세에서 신중하고 의롭고 경건하게”(티토 2,12) 살아야 한다.
  • 잘 산다고 하는 것은 마음을 다하고 영혼을 다하고 뜻을 다해서 하느님을 사랑하는 것 외에 다른 것이 아닙니다. 하느님에 대한 사랑을 손상하지 않고 온전히 보존해야 합니다. 이것이 절제입니다. 이 사랑은 어떤 불행에도 흔들리지 않습니다. 이것이 용기입니다. 이 사랑은 하느님만을 섬깁니다. 이것이 정의입니다. 계략과 거짓에 속아 넘어가지 않도록 모든 사물을 식별하기 위해 깨어 있습니다. 이것이 현명입니다.64)
  • 덕과 은총
  • 1810 교육과 사려 깊은 행동과 노력하며 늘 다시 시작하는 끈기로 얻게 되는 인간적인 덕은 하느님의 은총으로써 정화되고 고양된다. 하느님의 도움으로 이 덕들은 인간의 성품을 단련하고, 선을 쉽게 실천하도록 한다. 덕성스러운 사람은 덕을 실천함으로써 행복하다.
  • 1811 죄 때문에 상처를 입은 인간으로서는 도덕적 균형을 유지하는 일이 쉽지 않다.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의 선물은 우리가 꾸준하게 덕을 추구하도록 우리에게 필요한 은총을 준다. 각자는 늘 이 빛과 힘의 은총을 청해야 하며, 성사의 도움을 받고, 성령과 협력하며, 선을 사랑하고 악을 경계하라는 성령의 호소를 따라야 한다.
  • II. 향주덕
  • 1812 인간적인 덕들은 인간의 능력을 하느님의 본성에 참여하기에 적절하게 해 주는65) 향주덕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왜냐하면 향주덕은 하느님과 직접 관계되기 때문이다. 향주덕은, 그리스도인들이 거룩하신 삼위와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려는 마음을 가지게 한다. 향주덕의 근원과 동기와 대상은 한 분이시고 세 위이신 하느님이시다.
  • 1813 향주덕은 그리스도인의 윤리적 행위의 기초가 되며 그 행위에 활력을 불어넣고 특징을 부여한다. 곧 모든 윤리덕들을 알게 하고 생기를 불어넣는다. 향주덕은 신자들이 하느님의 자녀로서 행동하여 영원한 생명을 누릴 자격을 얻을 수 있게 하려고 하느님께서 그들의 영혼에 불어넣어 주시는 것이다. 향주덕은 인간의 능력 안에 성령의 현존과 활동을 보증한다. 향주덕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그것은 믿음과 희망과 사랑이다.66)
  • 믿음
  • 1814 믿음은 하느님과,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말씀하시고 계시하신 것과, 거룩한 교회가 우리에게 믿도록 제시하는 모든 것을 믿게 하는 향주덕이다. 하느님께서는 진리 자체이시기 때문이다. 믿음으로 인간은 “자기를 온전히 하느님께 자유로이 맡기는 것이다.”67) 그러므로 신자는 하느님 뜻을 알고 실천하고자 애쓴다. “의로운 이는 믿음으로 살 것이다”(로마 1,17). 살아 있는 믿음은 “사랑으로 행동한다”(갈라 5,6).
  • 1815 믿음이라는 선물은 믿음을 거슬러 죄를 짓지 않는 사람 안에 머문다.68) 그러나 “실천이 없는 믿음은 죽은 것이다”(야고 2,26). 희망과 사랑이 없는 믿음은 신자를 그리스도께 완전하게 결합시켜 주지 못하며, 그리스도의 몸의 살아 있는 지체가 되게 하지 못한다.
  • 1816 그리스도의 제자는 믿음을 간직하고 믿음으로 살아야 할 뿐 아니라, 이를 담대하게 고백하고 확신으로 증언하고 전파해야 한다. “모든 제자는 그 준비를 갖추어, 사람들 앞에서 그리스도를 고백하고, 교회가 늘 겪고 있는 박해 가운데에서 십자가의 길을 걸으시는 그리스도를 따라가야 한다.”69) 믿음에 대한 봉사와 증언은 구원을 위해 필요하다. “누구든지 사람들 앞에서 나를 안다고 증언하면, 나도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 앞에서 그를 안다고 증언할 것이다. 그러나 누구든지 사람들 앞에서 나를 모른다고 하면, 나도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 앞에서 그를 모른다고 할 것이다”(마태 10,32-33).
  • 희망
  • 1817 희망은 그리스도의 약속을 신뢰하며, 우리 자신의 힘을 믿지 않고 성령의 은총의 도움으로, 우리의 행복인 하늘 나라와 영원한 생명을 갈망하게 하는 향주덕이다. “우리가 고백하는 희망을 굳게 간직합시다. 약속을 주신 분은 성실하신 분이십니다”(히브 10,23). “이 성령을 하느님께서는 우리 구원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우리에게 풍성히 부어 주셨습니다. 그리하여 우리는 그분의 은총으로 의롭게 되어, 영원한 생명의 희망에 따라 상속자가 되었습니다”(티토 3,6-7).
  • 1818 희망은 하느님께서 모든 사람들의 마음에 넣어 주신 행복을 바라는 덕이다. 희망은 사람들의 활동을 고취시키는 갈망을 받아들이며, 그 활동들을 정화하여 하늘 나라를 향하게 한다. 사람들을 실망하지 않게 보호하고, 버림받을 때 언제나 힘을 북돋아 주고, 영원한 행복에 대한 기대로 마음을 열어 준다. 희망의 약동은 사람을 이기주의에서 보호하여 사랑의 행복으로 이끈다.
  • 1819 그리스도인의 희망은 선택된 민족의 희망을 되살리고 완성한다. 이 선택된 민족의 희망은 이사악으로 이루어진 아브라함의 희망과 희생의 시련으로 정화된 하느님의 약속에서 그 기원과 본보기를 찾을 수 있다.70) “아브라함은 희망이 없어도 희망하며,……‘많은 민족의 아버지’가 될 것을 믿었습니다”(로마 4,18).
  • 1820 그리스도인의 희망은 예수님의 전도 초기부터 행복 선언 안에 제시되었다. 참행복은 우리의 희망을 새 ‘약속의 땅’으로 들어 올리듯이 하늘로 들어 올린다. 참행복은 예수님의 제자들 앞에 기다리고 있는 시련을 통과할 수 있는 길을 마련해 준다. 그런데 하느님께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 공로를 통해서 우리를 “부끄럽게 하지 않는 희망”(로마 5,5) 안에 지켜 주신다. 희망은 “우리에게 영혼의 닻과 같아, 안전하고 견고하며……예수님께서는……우리를 위하여 선구자로 그곳에 들어가셨다”(히브 6,19-20). 희망은 구원을 위한 싸움에서 우리의 안전을 보장해 주는 무기이기도 하다. “믿음과 사랑의 갑옷을 입고 구원의 희망을 투구로 씁시다”(1테살 5,8). 희망은 시련 중에서도 우리에게 기쁨을 준다. “희망 속에 기뻐하고 환난 중에 인내하며 기도에 전념하십시오”(로마 12,12). 희망은 기도 안에서 표현되며 지탱되는데, 특히 우리가 희망하여 바랄 수 있는 모든 것이 요약된 ‘주님의 기도’가 그러하다.
  • 1821 그러므로 우리는 하느님께서 당신을 사랑하고71) 당신의 뜻을 실행하는 사람들에게72) 약속하신 하늘의 영광을 희망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각자는 하느님의 은총으로 끝까지 견디어 낼 수 있기를73) 바라야 하고, 그리스도의 은총으로 자신이 행한 선행에 대해 하느님께서 영원한 상급으로 주시는 하늘의 기쁨을 얻게 되리라고 희망해야 한다. 교회는 희망을 가지고 “모든 사람이 구원을 받고 진리를 깨닫게 되기를”(1티모 2,4) 기도한다. 교회는 천상 영광 속에서 자신의 정배이신 그리스도와 하나 되기를 갈망한다.
  • 희망하라, 희망하라. 너는 그 날과 그 시간을 알지 못한다. 조심스럽게 깨어 있어라. 비록 너의 초조함이 확실한 것을 의심스럽게 만들고, 아주 짧은 시간을 길게 여기게 하더라도 모든 것은 빠르게 지나간다. 네가 많이 싸우면 싸울수록 네 하느님에 대한 너의 사랑은 더욱 드러나며, 장차 결코 끝나지 않는 행복과 기쁨 중에 네 사랑하는 분과 더욱 즐거우리라는 사실을 생각하여라.74)
  • 사랑
  • 1822 사랑은 하느님만을 위하여 모든 것 위에 하느님을 사랑하고, 하느님에 대한 사랑 때문에 이웃을 자신같이 사랑하게 하는 향주덕이다.
  • 1823 예수님께서는 사랑을 새로운 계명으로 삼으신다.75) 예수님께서는 당신 제자들을 “끝까지”(요한 13,1) 사랑하심으로써 당신께서 받으시는 성부의 사랑을 드러내신다. 제자들은 서로 사랑하여 그들에게 주신 예수님의 사랑을 본받는다. 그러므로 예수님께서는 “아버지께서 나를 사랑하신 것처럼 나도 너희를 사랑하였다. 너희는 내 사랑 안에 머물러 있어라.”(요한 15,9) 하고 말씀하시며, 또 “이것이 나의 계명이다.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 너희도 서로 사랑하여라.”(요한 15,12) 하고 말씀하신다.
  • 1824 성령의 열매이며 율법의 완성인 사랑은 하느님과 그 아들 그리스도의 계명을 지키게 한다. “너희는 내 사랑 안에 머물러라.……너희도 내 계명을 지키면 내 사랑 안에 머무를 것이다”(요한 15,9-10).76)
  • 1825 그리스도께서는 우리가 아직 “원수”(로마 5,10)였던 때에도 우리에 대한 사랑으로 돌아가셨다. 주님께서는 우리에게 당신처럼 우리의 원수들까지도77) 사랑하며, 가장 먼 사람들을 이웃으로 삼고,78) 어린이들과79) 보잘것없는 사람들을 당신 자신처럼80) 사랑하라고 당부하신다.
  • 바오로 사도는 사랑을 비길 데 없이 훌륭하게 묘사한다. “사랑은 참고 기다립니다. 사랑은 친절합니다. 사랑은 시기하지 않고, 뽐내지 않으며, 교만하지 않습니다. 사랑은 무례하지 않고, 자기 이익을 추구하지 않으며, 성을 내지 않고, 앙심을 품지 않습니다. 사랑은 불의에 기뻐하지 않고, 진실을 두고 함께 기뻐합니다. 사랑은 모든 것을 덮어 주고, 모든 것을 믿으며, 모든 것을 바라고, 모든 것을 견디어 냅니다”(1코린 13,4-7).
  • 1826 그리고 바오로 사도는 말한다. “사랑이 없으면……나는 아무것도 아닙니다.” 나의 특은과 봉사와 덕행까지도 모두 ……“사랑이 없으면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81) 사랑은 모든 덕에 앞선다. 사랑은 향주덕 가운데 으뜸이다. “믿음과 희망과 사랑, 이 세 가지는 계속됩니다. 그 가운데에서 으뜸은 사랑입니다”(1코린 13,13).
  • 1827 모든 덕의 실행은 사랑에서 활력을 얻고 사랑으로 고취된다. “사랑은 완전하게 묶어 주는 끈”(콜로 3,14)이고, 모든 덕의 바탕이며, 덕들을 연결하고 질서를 지어 준다. 애덕은 그리스도인들이 닦아야 할 덕의 근원이며 귀결이다. 애덕은 우리의 인간적 사랑의 능력을 확고하게 하고 정화한다. 애덕은 인간적 사랑의 능력을 하느님 사랑의 초자연적 완전함으로 들어 올린다.
  • 1828 사랑으로 고취된 윤리적 삶의 실천은 그리스도인에게 하느님의 자녀들이 누리는 영적 자유를 준다. 이제 인간은 하느님 앞에 노예 같은 공포를 지닌 종도 아니고, 품삯을 바라고 일하는 품꾼도 아니며, “먼저 우리를 사랑하신 분”(1요한 4,19)의 사랑에 응답하는 자녀로 살아간다.
  • 우리가 벌이 무서워 악에서 멀어진다면 우리는 종의 마음을 지닌 것입니다. 또 보상의 미끼를 좇아간다면 우리는 돈에 팔린 사람과 같습니다. 마침내 선 자체에 대한 사랑과, 우리가 따르는 명령을 내리시는 분에 대한 사랑으로 그렇게 한다면……우리는 자녀의 마음을 가진 사람입니다.82)
  • 1829 사랑의 열매는 기쁨과 평화와 자비이며, 사랑은 친절과 우정 어린 충고를 요구한다. 사랑은 호의이며, 사랑은 상호 유대를 촉진하고 욕심이 없고 너그럽다. 사랑은 우정이며 친교이다.
  • 우리 모든 행동의 완성은 사랑입니다. 그것이 목적입니다. 우리는 그것 때문에 달리고, 그것을 향해 달립니다. 그리고 그것을 얻으면 그 안에서 쉬게 될 것입니다.83)
  • III. 성령의 선물과 열매
  • 1830 그리스도인들의 도덕적 삶은 성령의 선물로 지탱된다. 이 선물은 성령의 이끄심에 기꺼이 따르는 항구한 마음가짐이다.
  • 1831 이러한 성령의 일곱 가지 선물은 지혜, 통찰, 의견, 용기, 지식, 공경과 하느님에 대한 경외이다. 다윗의 후손이신 그리스도께서는 이 성령의 선물들을 완전히 갖추셨다.84) 성령의 선물은 그것을 받는 사람들의 덕을 보충하고 완전하게 한다. 이 선물들은 열심인 신자들을 하느님의 감도에 기꺼이 순종하게 한다.
  • 당신의 선하신 영이 저를 바른길로 인도하게 하소서(시편 143〔142〕,10).
  • 하느님의 영의 인도를 받는 이들은 모두 하느님의 자녀입니다.……자녀이면 상속자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하느님의 상속자입니다. 그리스도와 더불어 공동 상속자인 것입니다(로마 8,14.17).
  • 1832 성령의 열매는 성령께서 영원한 영광의 첫 열매로서 우리 안에 이루어 놓으신 완덕이다. 성경은 이 열매들을 다음과 같이 아홉 개로 꼽는다. “사랑, 기쁨, 평화, 인내, 호의, 선행, 성실, 온유, 절제”(갈라 5,22-23).
  • 간추림
  • 1833 덕은 선을 행하려는 몸에 밴 확고한 마음가짐이다.
  • 1834 인간적인 덕들은 우리의 행위를 규제하고, 우리의 감정에 질서를 부여하며, 우리의 행실을 이성과 신앙에 따라 인도하는 지성과 의지의 흔들리지 않는 마음가짐이다. 인간적인 덕은 현명, 정의, 용기, 절제의 사추덕을 중심으로 정리할 수 있다.
  • 1835 현명은 어떠한 경우에도 우리의 참다운 선을 식별하고 그것을 행할 올바른 방법을 선택하도록 실천적 이성을 준비시킨다.
  • 1836 정의는 하느님께 마땅히 드려야 할 것을 드리고 이웃에게 마땅히 주어야 할 것을 주려는 꾸준하고 굳은 의지이다.
  • 1837 용기는 어려움에서도 단호하고 꾸준하게 선을 추구하도록 보장해 준다.
  • 1838 절제는 감각적 쾌락의 유혹을 조절하고 재화를 사용하는 데에 균형을 잡게 해 준다.
  • 1839 윤리덕은 교육과 사려 깊은 행위와 꾸준한 노력으로 성장한다. 하느님 은총은 윤리적 덕들을 정화하고 고양한다.
  • 1840 향주덕은 그리스도인들을 거룩하신 삼위와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게 해 준다. 향주덕의 근원과 동기와 대상은 하느님이시다. 우리는 믿음으로 하느님을 알고 희망하며, 그분 자신을 위해 그분을 사랑한다.
  • 1841 향주덕은 세 가지인데 믿음, 희망, 사랑이다.85) 향주덕은 모든 윤리덕에 의미와 생명을 준다.
  • 1842 우리는 신앙으로써 하느님을 믿고,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계시하신 것과 거룩한 교회가 우리에게 믿으라고 제시하는 모든 것을 믿는다.
  • 1843 우리는 희망으로써 영원한 생명과 그것을 누릴 자격을 얻기 위한 은총들을 확고한 신뢰로 하느님께 바라고 기대한다.
  • 1844 우리는 사랑으로써 하느님을 모든 것 위에 사랑하고, 하느님을 사랑하기 때문에 이웃을 우리 자신과 같이 사랑한다. 사랑은 “완전하게 묶어 주는 끈”(콜로 3,14)이며 모든 덕의 바탕이다.
  • 1845 그리스도인들이 받는 성령의 일곱 가지 선물은 지혜, 통찰, 의견, 용기, 지식, 공경과 하느님에 대한 경외이다.
  • 제8절 죄
  • I. 자비와 죄
  • 1846 복음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드러난 죄인들에 대한 하느님 자비의 계시이다.86) 천사는 요셉에게 “그 이름을 예수라고 하여라. 그분께서 당신 백성을 죄에서 구원하실 것이다.”(마태 1,21) 하고 일러 준다. 속량의 성사인 성체성사도 마찬가지이다. “이는 죄를 용서해 주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내 계약의 피다”(마태 26,28).
  • 1847 “하느님께서는 그대 없이 그대를 창조하셨습니다. 그러나 그대 없이 그대를 구원하지 않으십니다.”87) 우리가 하느님의 자비를 받으려면 우리 죄를 고백해야 한다. “만일 우리가 죄 없다고 말한다면, 우리는 자신을 속이는 것이고 우리 안에 진리가 없는 것입니다. 우리가 우리의 죄를 고백하면, 그분은 성실하시고 의로우신 분이시므로 우리의 죄를 용서하시고, 우리를 모든 불의에서 깨끗하게 해 주십니다”(1요한 1,8-9).
  • 1848 바오로 사도가 확언하는 바와 같이 “죄가 많아진 그곳에 은총이 충만히 내렸다”(로마 5,20). 그러나 은총이 그 작용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죄를 드러내야 한다. 그때 비로소 은총은 우리 마음을 회개시켜,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우리를 “영원한 생명을 가져다주는 의로움으로 지배하게 한다”(로마 5,21). 상처를 치료하기 전에 상처를 검진하는 의사처럼,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말씀과 성령을 통해 생명의 빛으로 죄인을 비추신다.
  • 회개는 죄에 대한 자각을 요구한다. 회개는 그 자체로 양심의 내적인 판단을 내포하고 있다. 회개는 진리의 영이 사람의 가장 깊은 마음속에서 활동하시는 증거이며, 동시에 은총과 사랑의 새로운 선물이 시작됨을 뜻한다. “성령을 받아라.” 이처럼 “죄를 드러내는 일” 안에서 우리는 두 가지 은혜를 찾을 수 있다. 그것은 양심의 진리라는 선물과 속량의 확실성이라는 선물이다. 진리의 성령은 변호자이시다.88)
  • II. 죄의 정의
  • 1849 죄란 이성과 진리와 올바른 양심을 거스르는 잘못이다. 죄는 어떤 것에 대한 비뚤어진 애착 때문에 하느님과 이웃에 대한 참다운 사랑을 저버리는 것이다. 죄는 인간의 본성에 상처를 입히고 인간의 연대성을 해친다. 죄는 “영원법에 어긋나는 말이나 행위나 욕망”89)이라고 정의되어 왔다.
  • 1850 죄는 하느님에 대한 모욕이다. “당신께, 오로지 당신께 잘못을 저지르고 당신 눈에 악한 것을 제가 하였나이다”(시편 51〔50〕,6). 죄는 우리에 대한 하느님의 사랑을 거슬러 맞서며, 우리 마음을 하느님에게서 다른 곳으로 돌리게 한다. 최초의 죄와 마찬가지로 죄는 선과 악을 알고 규정하는 “하느님처럼”(창세 3,5) 되겠다는 헛된 의지로 하느님께 복종하지 않고 반항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죄는 “하느님을 업신여기고 자기를 사랑하는 것”90)이다. 죄는 교만스럽게도 자신을 이렇게 높이는 것이므로, 구원을 이룩하신 예수님의 순명에 정반대되는 것이다.91)
  • 1851 그리스도께서는 수난 중에 당신 자비로 죄를 이기시는데, 그 수난을 통해서 죄의 폭력성과 다양성이 가장 뚜렷하게 드러난다. 불신, 살인적인 증오, 지도자들과 백성들의 거부와 조소, 빌라도의 비열함, 병사들의 잔인함, 예수님께는 큰 아픔이었던 유다의 배반, 베드로의 부인과 제자들의 도망 따위가 그대로 폭로된다. 그러나 바로 어둠의 시간, 이 세상 권력자의92) 시간에 그리스도의 희생은, 드러나지는 않지만, 우리 죄에 대한 용서가 끊임없이 베풀어지는 원천이 되는 것이다.
  • III. 죄의 다양성
  • 1852 죄는 매우 다양하다. 성경은 여러 번 죄를 열거하고 있다. 갈라티아 신자들에게 보낸 서간은 육정의 행동을 성령의 열매와 대조한다. “육의 행실은 자명합니다. 그것은 곧 불륜, 더러움, 방탕, 우상 숭배, 마술, 적개심, 분쟁, 시기, 격분, 이기심, 분열, 분파, 질투, 만취, 흥청대는 술판,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것들입니다. 내가 여러분에게 이미 경고한 그대로 이제 다시 경고합니다. 이런 짓을 저지르는 자들은 하느님의 나라를 차지하지 못할 것입니다”(5,19-21).93)
  • 1853 다른 모든 인간 행위와 마찬가지로, 죄도 그 대상이나 과도함이나 부족함을 통해서, 그 악과 대립되는 덕에 따라서, 위반하는 계명에 따라서 구분할 수 있다. 죄가 하느님께 관련된 것인지 아니면 이웃이나 자기 자신에 관련된 것인지에 따라 나눌 수도 있고, 정신적인 것과 육체적인 것으로 나눌 수도 있으며, 또는 생각이나 말이나 행위나 궐함으로 짓는 죄로 구분할 수도 있다. 주님의 가르침에 따르면, 죄의 뿌리는 인간의 마음속에, 그의 자유 의지에 있는 것이다. “마음에서 나쁜 생각들, 살인, 간음, 불륜, 도둑질, 거짓 증언, 중상이 나온다. 이러한 것들이 사람을 더럽힌다”(마태 15,19-20). 선하고 깨끗한 행동의 근원인 사랑도 마음속에 있는데, 이것을 죄가 해치는 것이다.
  • IV. 죄의 경중: 대죄(죽을죄)와 소죄(용서받을 죄)
  • 1854 죄는 마땅히 그 경중에 따라 평가해야 한다. 이미 성경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죽을죄(peccatum mortale)와 용서받을 죄(peccatum veniale)의 구별이94) 교회의 전승 안에서도 인정되었고, 사람들의 경험도 이를 확증한다.
  • 1855 죽을죄(대죄)는 하느님의 법을 크게 어기어 인간의 마음에 있는 사랑을 파괴한다. 죽을죄는, 인간이 하느님보다 못한 것을 하느님보다 낫게 여김으로써 그의 최종 목적이며 행복이신 하느님께 등을 돌리게 한다.
  • 용서받을 죄(소죄)는 사랑을 어기고 해치기는 하지만 사랑을 사라지게 하지는 않는다.
  • 1856 대죄는 우리 안에서 생명의 원리인 사랑을 해치는 것인 만큼, 하느님 자비의 주도적 간여와 인간 마음의 회개가 필요하다. 이 회개는 보통 고해성사로써 이루어진다.
  • 우리의 의지가, 우리를 최종 목적을 향하도록 하는 사랑에 근본적으로 반대되는 것을 향해 나아갈 때,……죄는 하느님 모독이나 거짓 맹세와 같이 하느님에 대한 사랑을 어기는 것이거나, 살인이나 간통같이 이웃에 대한 사랑을 어기는 것이거나 간에, 그 대상 자체를 통해 대죄가 된다.……반면에 우리의 의지가, 쓸데없는 말이라든가 비웃음 따위와 같이 그 자체로 무질서를 내포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하느님에 대한 사랑이나 이웃에 대한 사랑에 어긋나지는 않을 때, 그런 죄는 소죄이다.95)
  • 1857 어떤 죄가 대죄가 되려면 세 가지의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중대한 문제를 대상으로 하고, 완전히 의식하면서, 고의로 저지른 죄는 대죄이다.”96)
  • 1858 중대한 문제란 부자 청년에게 하신 예수님의 대답에서처럼, 십계명 안에 구체화되어 있다. “살인해서는 안 된다. 간음해서는 안 된다. 도둑질해서는 안 된다. 거짓 증언을 해서는 안 된다. 횡령해서는 안 된다. 아버지와 어머니를 공경하여라”(마르 10,19). 죄는 무겁거나 가벼울 수 있다. 살인은 도둑질보다 더 무겁다. 침해를 당하는 사람의 신분도 문제가 된다. 부모에게 행한 폭력은 그 자체로 다른 사람에게 행한 폭력보다 더 무겁다.
  • 1859 대죄가 되려면 완전한 인식과 전적인 동의로써 저질러져야 한다. 대죄는 그 행위의 악한 성격과 그 행위가 하느님의 법을 거스른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을 전제로 한다. 대죄는 또한 그것이 개인적인 선택이 될 만큼 충분히 고려한 동의를 내포한다. 가장된 무지와 마음의 완고함은97) 죄의 고의적인 성격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늘린다.
  • 1860 고의가 아닌 무지는 큰 잘못에 대한 책임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 그러나 그 누구도 모든 사람의 양심에 새겨진 도덕률의 원칙을 모른다고 간주될 수는 없다. 감성의 충동과 감정들도 죄의 고의적이고 자유로운 성격을 줄일 수 있고, 외부에서 오는 압력이나 병적인 장애도 마찬가지로 그럴 수 있다. 악의로 짓는 죄, 고의로 악을 선택하여 짓는 죄가 가장 무겁다.
  • 1861 대죄는 사랑 자체와 마찬가지로 인간의 자유가 지닌 하나의 극단적인 가능성이다. 대죄는 사랑의 상실과 성화 은총의 박탈, 곧 은총 지위의 상실을 초래한다. 만일 대죄가 뉘우침과 하느님 자비로 속죄되지 않는다면, 하느님 나라에서 추방되고 지옥의 영원한 죽음을 당한다. 자유로운 인간은 돌이킬 수 없는 영원한 선택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어떤 행위가 그 자체로 중대한 죄라고 판단할 수는 있지만, 사람들에 대한 판단은 하느님의 정의와 자비에 맡겨야 한다.
  • 1862 가벼운 문제에 대해 도덕률이 정한 기준을 지키지 않거나, 중대한 문제에 대해 도덕률을 어겼지만 완전히 인식하지 못했거나 전적으로 동의하지 않은 경우에는 소죄가 된다.
  • 1863 소죄는 사랑을 약화시키고, 세상 재물에 대하여 지나친 애착을 보이며, 윤리적 선의 실천과 영혼의 진보를 방해하며, 잠벌을 받게 한다. 고의로 짓고도 뉘우치지 않은 소죄는 점점 대죄를 지을 수 있게 한다. 그렇지만 소죄는 하느님과 맺은 계약을 파기하지는 않는다. 소죄는 하느님의 은총으로 인간적으로 속죄할 수 있다. “소죄는 성화 은총, 하느님과 이루는 친교, 사랑과 영원한 행복을 박탈하지는 않는다.”98)
  • 인간은 육체를 지니고 사는 한 모든 죄를, 적어도 가벼운 죄들을 피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가볍다고 말하는 죄를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지는 말기 바랍니다. 당신이 그 무게를 달 때에는 대수롭지 않다고 생각하더라도 그 수를 셀 때에는 두려움에 떨어야 합니다. 가벼운 물건이 많이 모이면 큰 덩어리가 되고, 물방울이 많이 모이면 강을 채우고, 낟알이 많이 모이면 산더미가 됩니다. 그때에 우리의 희망은 무엇입니까- 그것은 무엇보다도 ‘고백’인 것입니다.…….99)
  • 1864 “사람들이 어떠한 죄를 짓든, 신성을 모독하는 어떠한 말을 하든 다 용서받을 것이다. 그러나 성령을 모독하는 말은용서받지 못할 것이다”(마태 12,31).100) 하느님의 자비에는 한계가 없다. 그러나 뉘우침으로 하느님의 자비를 받아들이기를 일부러 거부하는 사람은 자기 죄의 용서와 성령께서 베푸시는 구원을 물리치는 것이다.101) 이러한 완고함은 죽을 때까지 회개하지 않게 하고 영원한 파멸로 이끌어 갈 수 있다.
  • V. 죄의 증식
  • 1865 죄는 죄로 이끌며, 같은 행위를 되풀이함으로써 악습을 낳는다. 그 결과 타락한 경향들이 생겨나 양심을 흐리게 하고 선과 악에 대한 구체적인 판단을 그르치게 한다. 이처럼 죄는 번식하고 더 강력해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도의심을 뿌리째 소멸시키지는 못한다.
  • 1866 악습들은 그와 반대되는 덕에 따라 분류할 수 있고, 또 죄종(罪宗)과 연관시킬 수 있다. 죄종(peccata capitalia)은 요한 카시아누스 성인과102) 대 그레고리오 성인의103) 뒤를 이어 그리스도인들의 경험으로 식별되었다. 이 악습들을 죄종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그것들이 다른 죄들과 악습들을 낳기 때문이다. 죄종은 교만, 인색, 질투, 분노, 음욕, 탐욕, 나태이다.
  • 1867 전통적 교리 교육은 “하늘을 향해 울부짖는 죄들”이 있다는 것을 환기시킨다. 아벨의 피,104) 소돔 사람들의 죄,105) 이집트에서 억압받는 백성의 아우성,106) 이방인과 과부와 고아들의 호소,107) 품팔이꾼에 대한 부당한 행위들이108) 하늘을 향해 울부짖고 있다.
  • 1868 죄는 개인적 행위이다. 그러나 우리가 다른 사람들의 죄에 협력하면 거기에 대해서도 책임이 있다.
  • - 그 죄에 직접, 고의적으로 관여함으로써,
  • - 그 죄를 명령하거나 권하거나 칭찬하거나 승인함으로써,
  • - 그것을 알릴 의무가 있을 때 알리지 않거나, 막을 의무가 있을 때 막지 않음으로써,
  • - 악을 행하는 사람들을 보호함으로써.
  • 1869 이처럼 죄는 사람들을 서로 공범이 되게 하고, 그들 사이에 탐욕과 폭력과 불의가 만연하게 한다. 죄는 하느님의 선하심에 반대되는 사회적 상황과 제도를 유발한다. ‘죄의 구조들’은 개인들이 지은 죄의 표현이며 결과이다. 이 구조들이 다시 그 구조의 희생자들을 같은 악을 저지르도록 끌어들인다. 유비적인 의미에서 이 구조들은 “사회적 죄”를109) 구성한다.
  • 간추림
  • 1870 “하느님께서 모든 사람을 불순종 안에 가두신 것은, 모든 사람에게 자비를 베푸시려는 것입니다”(로마 11,32).
  • 1871 죄는 “영원법에 어긋나는 말이나 행위나 욕망이다.”110) 죄는 하느님에 대한 모욕이다. 죄는 그리스도의 순종과 반대되는 불순종 안에서 하느님과 맞선다.
  • 1872 죄는 이성을 거스르는 행위이다. 죄는 인간의 본성을 훼손하고 인간의 연대성을 해친다.
  • 1873 모든 죄의 뿌리는 인간의 마음속에 있다. 죄의 종류와 경중은 주로 그 대상에 따라 헤아린다.
  • 1874 일부러, 곧 그것을 알고 그것을 원해서 하느님의 법과 인간의 최종 목적에 어긋나는 중대한 일을 선택하는 것은 ‘죽을죄’(대죄)를 짓는 것이다. 죽을죄는 우리 안에서 사랑을 파괴하여 영원한 행복을 누리지 못하게 한다. 뉘우침이 없다면 죽을죄는 영원한 죽음을 가져온다.
  • 1875 ‘용서받을 죄’(소죄)는 윤리적 무질서이지만 우리 안에서 사랑을 소멸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그 무질서는 사랑으로써 회복될 수 있다.
  • 1876 소죄라고 할지라도 죄를 되풀이하는 것은 악습을 낳는데, 그중에서 죄종들을 판별해 낼 수 있다.
  • 제 2 장 인류 공동체
  • 1877 인류의 사명은 하느님의 모습을 드러내고 성부의 외아들의 모습으로 변하는 것이다. 이 사명은 각자가 하느님의 행복으로 들어오라는 요구를 받고 있으므로 개인적 형태를 취하면서도, 인류 공동체 전체에 관련되기도 한다.
  • 제1절 인간과 사회
  • I. 인간 소명의 공동체적 특징
  • 1878 모든 사람은 동일한 목적, 곧 하느님을 향하도록 부름을 받았다. 신적 위격의 결합과 진리와 사랑 안에 있는 하느님 자녀들의 결합에는 유사성이 있다.1) 이웃에 대한 사랑은 하느님에 대한 사랑과 분리할 수 없다.
  • 1879 인간에게는 사회생활이 필요하다. 사회생활은 인간에게 덧붙여진 우연한 그 무엇이 아니라, 인간 본성의 요구이다. 다른 사람들과의 거래, 상호 의무, 형제적 대화 등으로 인간은 되도록 자신의 모든 재능을 키우고 자기 소명에 응답할 수 있다.2)
  • 1880 사회는 인간 개개인을 초월하는 일치의 원리에 따라 유기적으로 연결된 사람들의 총체이다. 가시적이며 동시에 정신적 집합체인 사회는 시간 안에 존속한다. 사회는 과거를 이어받아 미래를 준비한다. 인간은 사회를 통해서 ‘상속자’가 되고 ‘재능들’을 받게 되는데, 그 재능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풍요롭게 하며, 인간은 그 재능을 발휘하여 적절한 성과를 거두어야 한다.3) 개인은 마땅히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 헌신해야 하고, 공공의 선익을 책임지고 있는 권위를 존중해야 한다.
  • 1881 각 공동체는 그 목적에 따라 정의되며 그 고유한 규칙을 따른다. 그러나 “모든 사회 제도의 근본도 주체도 목적도 인간이며 또 인간이어야 한다.”4)
  • 1882 가정이나 국가와 같은 어떤 사회들은 인간의 본성에 더 직접적으로 부합한다. 이러한 공동체들은 인간에게 필수적인 것이다. 더 많은 사람들이 사회생활에 참여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한 국가 안에서나 또는 세계적인 차원에서 경제, 사회, 문화, 오락, 체육, 직업, 정치 등의 목적으로”5) 세워지는 자발적 협의체와 기구들을 장려해야 한다. 이 같은 ‘사회화’는 또한 개인의 능력을 초월하는 목표를 달성하고자 서로 연합하는 사람들을 격려하는 자연적인 경향이기도 하다. 이 사회화는 인간의 장점들을 발전시키고, 특히 그 자발성과 책임감을 발달시킨다. 사회화는 인권을 지키도록 도와준다.6)
  • 1883 사회화에는 위험도 따른다. 국가의 강제 개입은 개인의 자유와 자발성을 위협할 수 있다. 교회의 가르침은 보조성이라는 원리를 고안해 냈다. 이 원리에 따르면, “상위층의 사회는 하위층 사회의 내적 사안에 간섭하여 그 고유의 임무를 제거하면 안 되고, 오히려 반대로 필요한 경우에는 공동선을 목표로 그 행동이 하위층 사회의 행동과 조화되도록 지원하고 도와주어야 한다.”7)
  • 1884 하느님께서는 모든 권능 행사를 하느님 혼자서만 차지하기를 바라지 않으셨다. 하느님께서는 각 피조물들에게 그의 본성의 능력에 따라 행사할 수 있는 기능을 맡기신다. 인간 공동체를 다스리는 사람들은 인간의 자유를 철저하게 존중하시는 하느님의 통치 방식을 본받아야 한다. 그들은 하느님 섭리의 봉사자로서 행동해야 한다.
  • 1885 보조성의 원리는 모든 형태의 전체주의와 대립된다. 이 원리는 국가 개입에 한계를 긋는다. 이 원리는 개인과 사회의 조화로운 관계를 겨냥하며, 참다운 국제 질서의 건설을 지향한다.
  • II. 회개와 사회
  • 1886 사회는 인간의 소명을 실현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물질적이고 본능적인 차원을 내적이고 정신적인 차원에 종속시키는”8) 정의로운 가치 체계가 존중되어야 한다.
  • 인간 사회는 무엇보다도 먼저 정신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사회를 통해 사람들은 진리의 빛 안에서 지식을 교환하고, 권리를 행사하며 의무를 수행하고, 도덕적인 선을 추구하도록 자극을 받으며, 모든 아름다운 것에서 우러나는 합당한 즐거움을 나누고, 변함없는 마음으로 자신의 가장 좋은 것을 서로 나누고자 하며, 영적 가치들이 언제나 더 풍요롭게 완성되기를 열망한다. 이러한 가치들은 문화 활동, 경제생활, 사회 조직, 정치 운동과 체제, 입법, 그 밖의 모든 분야를 고무하고 이끌어야 한다. 이로써 사회는 인간 공동체를 이루면서 끊임없이 발전한다.9)
  • 1887 궁극적 목적에 이르는 수단에 지나지 않는 것들을 궁극적 목적으로 여기거나, 인간을 어떤 목적을 위한 단순한 수단으로 여기는 목적과 수단의 전도(顚倒)는,10) “최고 입법자이신 하느님의 계명에 부합하는 그리스도인다운 행동을 어렵게 하거나 거의 불가능하게 하는”11) 정의롭지 못한 구조들을 낳는다.
  • 1888 따라서 실제로 인간에게 도움이 되는 사회적 변화를 가져오려면 인간의 정신적, 도덕적 능력과 그의 끊임없는 내적 회개가 필요하다. 마음의 회개에 최우선을 두는 것은 죄를 유발시키는 제도와 생활 여건을 적절히 개선할 의무를 소멸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의무를 부과하는 것이다. 제도와 생활 여건들은 정의의 규범에 맞아야 하고, 선에 해를 끼치지 않고 도움이 되도록 개선되어야 한다.12)
  • 1889 은총의 도움이 없으면, 흔히 사람들은 “악에 굴하는 비겁함과, 악과 싸운다고 주장하면서 실은 악을 조장하는 폭력 사이에서 좁은 오솔길을 찾아낼”13) 수 없을 것이다. 그 길은 사랑의 길, 곧 하느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의 길이다. 사랑은 가장 큰 사회적 계명이다. 사랑은 타인과 타인의 권리를 존중한다. 사랑은 정의의 실천을 요구하고, 또 사랑만이 우리가 정의를 실천할 수 있게 한다. 사랑은 자신을 내어 줄 마음을 불러일으킨다. “제 목숨을 보존하려고 애쓰는 사람은 목숨을 잃고, 목숨을 잃는 사람은 목숨을 살릴 것이다”(루카 17,33).
  • 간추림
  • 1890 하느님의 세 위격이 이루는 일치와 사람들끼리 이루어야 하는 형제애 사이에는 어떠한 유사성이 있다.
  • 1891 인간은 자기 본성에 적합하게 발전하기 위해서 사회생활이 필요하다. 가정이나 국가 같은 어떤 사회들은 인간의 본성에 더 직접적으로 부합한다.
  • 1892 “모든 사회 제도의 근본도 주체도 목적도 인간이며 또 인간이어야 한다.”14)
  • 1893 민간 협의체들이나 기구들에 대한 폭넓은 참여는 장려되어야 한다.
  • 1894 보조성의 원리에 따르면, 국가나 더 넓은 사회가 개인들과 중간 집단의 자발성이나 책임을 대체해서는 안 된다.
  • 1895 사회는 덕을 닦는 것을 방해하지 말고 도와주어야 하며, 정의로운 가치 체계로 이를 고취하여야 한다.
  • 1896 죄 때문에 사회의 분위기가 혼탁해지는 곳에서는 사람들에게 마음의 회개를 촉구하고 하느님의 은총을 청해야 한다. 사랑은 정당한 개혁을 촉진한다. 복음 외에는 사회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없다.15)
  • 제2절 사회생활 참여
  • I. 권위(공권력)
  • 1897 “인간 사회는 그 제도를 지켜 주고 또 충분하게 공동선 실현에 이바지하는 합당한 권위가 없다면, 질서가 잡히지도 않고 풍요롭지도 못할 것이다.”16)
  • 개인이나 기관들이 사람들에게 법률을 공포하고 명령을 내리며, 또한 그들의 복종을 기대할 수 있는 자격을 ‘권위’라고 부른다.
  • 1898 인간의 모든 공동체에는 그 공동체를 다스릴 권위가 필요하다.17) 권위의 근거는 인간의 본성에 있다. 공권력은 국가의 단일성을 위해서 필요하다. 공권력의 역할은 가능한 한 사회의 공동선을 보장하는 것이다.
  • 1899 인간의 도덕적 차원이 요구하는 권위는 하느님에게서 나온다. “사람은 누구나 위에서 다스리는 권위에 복종해야 합니다. 하느님에게서 나오지 않는 권위란 있을 수 없고, 현재의 권위들도 하느님께서 세우신 것입니다. 그러므로 권위에 맞서는 자는 하느님의 질서를 거스르는 것이고, 그렇게 거스르는 자들은 스스로 심판을 불러오게 됩니다”(로마 13,1-2).18)
  • 1900 복종의 의무는 모든 사람들에게 권위에 대한 적절한 존경의 의무를 명하며, 권위의 임무를 행사하는 사람들을 존경할 것과, 그들의 공로에 대해 감사하고 호의를 보일 것을 명한다.
  • 로마의 성 클레멘스 교황이 정치적 권력자들을 위해 지은, 교회에서 가장 오래된 기도문은 다음과 같다.19)
  • 주님, 그들에게 건강과 평화와 화합과 안정을 주시어, 주님께서 그들에게 맡겨 주신 통치권을 손상됨 없이 행사하도록 하소서. 하늘에 계신 만대의 왕이시며 주인이신 주님께서 사람의 자녀들에게 영광과 명예와 땅에 있는 것들을 다스릴 권한을 주셨습니다. 주님, 그들의 사고력을 선한 것과 주님께서 보시기에 좋은 것에 따라 지도하시어, 그들이 주님께 받은 권한을 평화와 관용 속에서 경건한 마음으로 행사하여 주님의 인자하심을 깨닫게 해 주소서.20)
  • 1901 공권력이 하느님께서 정하신 질서에 속해 있으나, “통치 체제 결정과 통치자 지명은 국민들의 자유의사에 맡겨져 있다.”21)
  • 다양한 정치 체제들은 그것들을 채택하는 공동체의 정당한 이익을 꾀하는 것이라면 도덕적으로 인정될 수 있다. 자연법과 공공질서와 사람들의 기본권에 상반되는 성격을 지닌 체제는 그 체제를 강요당하는 백성들의 공동선을 실현할 수 없다.
  • 1902 공권력의 도덕적 정당성은 그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다. 공권력은 독재적으로 행사되어서는 안 되며, “자유와 의무의 수용 그리고 책임 의식에 뿌리박은 도덕적 힘으로”22) 공동선을 위하여 행사되어야 한다.
  • 인간의 법은 바른 이성에 따른 한에서만 법의 성격을 띤다. 그러므로 인간의 법이 영원법으로부터 그 유효성을 부여받는다는 것이 분명해진다. 이성에서 벗어난 법일수록 그것은 부당한 법이라고 해야 한다. 왜냐하면 이성에서 벗어난 법은 법의 성격을 지녔다기보다는 오히려 일종의 폭력이기 때문이다.23)
  • 1903 공권력은 집단의 공동선을 추구하고, 또한 공동선을 달성하기 위해 도덕적으로 합당한 방법들을 사용해야 비로소 정당하게 행사되는 것이다. 만일 지도자들이 옳지 못한 법률을 제정하거나 윤리 질서에 어긋나는 조치를 취하는 일이 있다면, 그런 규정들은 양심을 구속하지 못할 것이다. “이 경우 공권력은 더 이상 공권력이 아닌 압제로 변질된다.”24)
  • 1904 “어떤 권력이든 같은 목적에 봉사하는 다른 기능들과 다른 권력들을 통하여 더 원만하게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사람들의 독단적 의사가 아니라 법이 다스리는 ‘법치 국가’의 원리이다.”25)
  • II. 공동선
  • 1905 인간의 사회적 본성에 비추어 각 개인의 선익은 반드시 공동선과 연관되기 마련이다. 공동선은 인간의 인격과 관련해서만 규정될 수 있다.
  • 여러분은 마치 이미 의인이 된 듯이 자신 안에만 머물며 고립되어 있지 말고, 같이 모여서 모든 이에게 유익한 것을 함께 찾도록 노력하십시오.26)
  • 1906 공동선이란 “집단이든 구성원 개인이든 자기 완성을 더욱 충만하고 더욱 용이하게 추구하도록 하는 사회생활 조건의 총화”27)로 이해해야 한다. 공동선은 모든 사람의 생활과 관계된다. 공동선은 각 개인에게 현명함을 요구하며, 공권력을 행사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에게는 더더욱 신중함을 요구한다. 공동선은 세 요소로 이루어진다.
  • 1907 첫째, 공동선은 인간을 인격체로 존중할 것을 전제로 한다. 공권력은, 공동선을 위해서, 양도할 수 없는 인간의 기본 권리를 존중할 의무가 있다. 사회는 그 구성원 각자가 자신의 소명을 실현할 수 있게 해 주어야 한다. 공동선은 특히 인간이 제 소명을 다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타고난 자유를 행사하기 위한 조건들을 의미한다. 그 조건들이란 “자기 양심의 바른 규범에 따른 행동, 사생활 보호의 권리 그리고 종교 문제에서도 정당한 자유를 누릴 권리”28)들이다.
  • 1908 둘째, 공동선은 사회의 안녕과 집단 자체의 발전을 요구한다. 발전은 모든 사회적 의무의 골자이다. 물론 공동선을 위해 개인의 서로 다른 이익들에 대한 판정을 내리는 것은 공권력에 속한 일이다. 그러나 공권력은 모든 사람이 의식주와 보건, 노동, 교육과 문화, 적절한 정보, 가정을 이룰 권리29) 등과 같이 진정한 인간적 삶을 위해 필요한 것들을 누릴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 1909 끝으로, 공동선은 평화를 지향한다. 이는 곧 올바른 질서의 지속과 안전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공동선은 공권력이 사회와 그 구성원들의 안전을 정당한 방법으로 보장할 것을 전제로 한다. 공동선은 개인과 집단의 정당방위의 근거가 된다.
  • 1910 인간의 모든 공동체가 그 스스로 공동체라고 인정할 만큼의 공동선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면, 공동선은 정치 공동체 안에서 가장 완전하게 실현된다. 시민 사회, 시민, 중간 집단들의 공동선을 보호하고 증진하는 것이 국가의 역할이다.
  • 1911 사람들의 상호 의존성은 증대되고 있으며, 점차 온 세계로 넓혀지고 있다. 평등하게 타고난 존엄성을 누리는 사람들이 모여 있는 인류 가족의 단일성은 전 세계적인 공동선을 내포하고 있다. 전 세계적 공동선은 “식량, 건강, 교육, 노동과 관련된 사회생활 분야는 물론, 어떤 곳에서 일어날 수 있는 특수 상황, 곧 일반적으로 개발도상국들의 발전을 위한 원조,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난민들의 구호, 또는 이민과 그 가족들에 대한 지원”30)과 같은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국제 공동체 차원의 기구 설치를 촉구한다.
  • 1912 공동선은 언제나 사람들의 발전을 지향한다. “사물의 안배는 인간 질서에 종속되어야 하며 그 반대가 되어서는 안 된다.”31) 이 질서는 진리에 바탕을 두며, 정의 위에 세워지고, 사랑에서 힘을 얻는다.
  • III. 책임과 참여
  • 1913 참여란 인간이 자발적이고 헌신적으로 사회 교류에 투신하는 것이다. 모든 인간은 각자가 차지하고 있는 지위와 맡은 일에 따라 공동선을 증진하는 데 참여해야 한다. 이 의무는 인격의 존엄성에서 우러나는 것이다.
  • 1914 참여는 먼저 개인이 책임을 맡고 있는 분야의 의무를 다함으로써 비로소 실현된다. 예를 들면 인간은 자기 가족의 교육에 정성을 기울이고, 자신의 일을 양심적으로 수행하여 타인과 사회의 선익에 이바지한다.32)
  • 1915 시민들은 가능한 한 공공 생활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 이 참여 방식은 각 나라와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대다수의 국민이 참된 자유로 국사에 참여하도록 하는 국가 제도는 치하를 받아야 한다.”33)
  • 1916 공동선을 실현하기 위한 모든 사람들의 참여에는 모든 도덕적 의무와 마찬가지로 사회 참여자들의 끊임없는 새로운 회개가 필요하다. 어떤 사람들이 법의 구속과 사회적 의무의 규정들을 회피하기 위해 저지르는 부정행위와 여러 가지 다른 기만적 술책들은 정의의 요구와 양립될 수 없는 것이므로 단호히 단죄되어야 한다. 인간의 생활 조건 개선에 이바지하는 기구들의 발전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34)
  • 1917 공권력을 행사하는 사람들은 집단의 구성원들이 믿음을 두는 가치와 그들이 이웃에게 봉사하도록 북돋워 주는 가치를 확립하여야 한다. 참여는 교육과 문화로 시작된다. “우리는 당연히 삶의 의미와 희망의 근거를 다음 세대에 물려줄 수 있는 사람들의 손에 인류의 미래 운명이 놓여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35)
  • 간추림
  • 1918 하느님에게서 나오지 않는 권위란 있을 수 없고, 현재의 권위들도 하느님께서 세우신 것입니다”(로마 13,1).
  • 1919 모든 인간 공동체가 유지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권위가 필요하다.
  • 1920 “정치 공동체와 공권력은 인간 본성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또 그러기에 하느님께서 예정하신 질서에 귀속한다는 것이 분명하다.”36)
  • 1921 공권력이 사회 공동선을 꾀하려고 애쓴다면 그 공권력은 정당하게 행사되는 것이다. 공동선을 이룩하기 위해서 공권력은 도덕적으로 정당한 방법들을 사용해야 한다.
  • 1922 여러 가지 다양한 정치 체제들은 공동체의 선익에 도움이 되는 것이라면, 그 어떤 체제도 정당하다.
  • 1923 정치적 권위는 도덕적 질서의 한계 안에서 행사되어야 하며, 자유로이 행동할 수 있는 조건들을 보장해야 한다.
  • 1924 공동선은 “집단이든 구성원 개인이든 자기완성을 더욱 충만하고 더욱 용이하게 추구하도록 하는 사회생활 조건의 총화”37)를 말한다.
  • 1925 공동선은 세 가지 본질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인간 기본권의 존중과 신장, 번영 곧 사회의 정신적 물질적 선익의 발전, 집단과 그 구성원들의 평화와 안전이 그것이다.
  • 1926 인간의 존엄성은 공동선의 추구를 요구한다. 모든 사람은 인간 생활의 조건을 향상시키는 기구를 촉진하고 유지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 1927 시민 사회의 공동선을 보호하고 증진하는 것은 국가가 할 일이다. 전 인류 가족의 공동선은 국제적 사회 기구를 요구한다.
  • 제3절 사회 정의
  • 1928 단체나 개인들이 그들의 본성과 소명에 따라 당연히 받아야 할 것을 받을 수 있게 하는 조건들을 실현할 때, 그 사회는 사회 정의를 보장한다. 사회 정의는 공동선과 공권력 행사와 관계된다.
  • I. 인격의 존중
  • 1929 사회 정의는 인간의 탁월한 존엄성을 존중함으로써만 이루어 낼 수 있다. 인간은 사회의 궁극 목적이며, 사회는 인간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
  • 창조주께서는 인간 존엄성의 수호와 증진을 우리에게 맡기셨다. 모든 남녀는 역사의 모든 상황 속에서 이에 대한 엄정한 책임과 의무를 지고 있다.38)
  • 1930 인격의 존중은 인간의 존엄성에서 비롯하는 권리에 대한 존중을 내포한다. 이 권리는 사회보다 앞서 있으며, 사회가 받아들여야 할 권리이다. 이 권리는 모든 공권력의 도덕적 정당성의 근거가 된다. 이 권리를 무시하거나 실정법으로 인정하지 않는 사회는 자신의 도덕적 정당성을 스스로 무너뜨리는 것이다.39) 이러한 권리를 존중하지 않는 공권력은 그 구성원들의 복종을 얻기 위해 힘이나 폭력에 의지하는 수밖에 없다. 선의의 사람들에게 이 권리를 상기시키고 이 권리를 부당하거나 그릇된 요구와 구별하는 것은 교회가 할 일이다.
  • 1931 인격 존중은 다음과 같은 원칙을 존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모든 사람은 저마다 이웃을 어떠한 예외도 없이 또 하나의 자신으로 여겨야 하고, 무엇보다도 이웃의 생활을 고려하여 그 생활을 품위 있게 영위하는 데에 필요한 수단들을 보살펴야 한다.”40) 어떠한 법률도 그 자체의 힘으로 진정 우호적인 사회를 건설하는 데 방해가 되는 공포와 편견, 교만과 이기주의적 태도를 없앨 수는 없을 것이다. 이러한 태도는 모든 이를 ‘이웃’으로, ‘형제’로 보는 사랑이 있어야만 사라진다.
  • 1932 타인의 이웃이 되어 그에게 적극적으로 봉사하는 의무는, 이웃이 어떤 면에서건 가져야 할 것을 가지지 못했을 때 한층 더 절실해진다. “너희가 내 형제들인 이 가장 작은 이들 가운데 한 사람에게 해 준 것이 바로 나에게 해 준 것이다”(마태 25,40).
  • 1933 이러한 의무는 우리와 달리 생각하거나 행동하는 사람들에게도 미친다. 그리스도의 가르침은 모욕에 대한 용서까지도 요구한다. 그 가르침은 신약의 계명인 사랑의 계명을 모든 원수에게까지 넓힌다.41) 복음 정신에 따른 해방은, 원수인 그 사람에 대한 증오와는 양립될 수 없지만, 원수인 그 사람이 행하는 악에 대한 증오와는 양립될 수 없는 것이 아니다.
  • II. 사람들 사이의 평등과 차이
  • 1934 오직 한 분이신 하느님을 닮은 모습으로 창조되었고, 동일한 이성적 영혼을 지닌 모든 사람은 같은 본성과 같은 근원을 가지고 있다. 그리스도의 희생으로 구원된 모든 사람은 똑같이 하느님의 행복에 참여하도록 부름 받았다. 그러므로 모든 사람은 동등한 존엄성을 누린다.
  • 1935 사람들 사이의 평등은 본질적으로 그들의 개인적 존엄성과 거기에서 비롯하는 권리에 근거를 두고 있다.
  • 인간 기본권에서 모든 형태의 차별, 사회적이든 문화적이든, 또는 성별, 인종, 피부색, 사회적 신분, 언어, 종교에서 기인하는 차별은 하느님의 뜻에 어긋나는 것이므로 극복되고 제거되어야 한다.42)
  • 1936 이 세상에 태어날 때부터 인간은 그의 육체적, 정신적 생명의 발전에 필요한 모든 것을 갖추고 있지는 않다. 인간에게는 다른 사람들이 필요하다. 나이와 육체적 능력과 지성적 도덕적 역량과, 누구나 혜택을 입을 수 있는 부와 그 분배에 따라서 인간들 사이의 차이가 생겨난다.43) ‘탈렌트’(재능)는 똑같이 분배되지 않는다.44)
  • 1937 이러한 차이들은 하느님의 계획에 속하는 것으로, 하느님께서는 저마다 필요한 것을 남에게서 받기를 바라시고, 특별한 ‘탈렌트’를 가진 사람들이 그 혜택을 필요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기를 바라신다. 인간들 사이의 차이는 사람들에게 아량과 친절과 나눔을 권장할 뿐 아니라 종종 그러한 의무를 부과한다. 인간들의 차이는 문화들이 서로를 풍요롭게 하도록 자극한다.
  • 나는 모든 덕을 각자에게 똑같이 주지 않는다.……나는 여러 가지 덕을 어떤 것은 이 사람에게, 또 어떤 것은 저 사람에게 나누어 준다.……이 사람에게는 특별히 사랑을 주고, 저 사람에게는 정의를, 또 저 사람에게는 겸손을, 또 다른 사람에게는 생동하는 신앙을 주겠다.……이처럼 나는 많은 은사와 은총을, 영신적 육체적 은총들을 균등하게 분배하지는 않았다. 나는 각자가 필요한 것들을 모두 가지기를 원하지 않았다. 그것은 사람들이 어쩔 수 없이 서로 사랑을 실천할 기회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였다.……나는 그들이 서로 도움을 주고받을 필요성을 느껴 내게서 받은 은총과 선물을 나누어 주는 나의 봉사자가 되기를 원했다.45)
  • 1938 실로 무수한 남녀들이 당하는 부당한 불평등들도 있다. 그것들은 분명히 복음에 위배되는 것이다.
  • 평등한 인간 존엄성은 더욱 인간답고 공평한 생활 조건에 이르게 되기를 요구한다. 하나인 인간 가족의 구성원들이나 민족들 사이의 지나친 경제적 사회적 불평등은 추문을 일으키고, 사회 정의, 평등, 인간 존엄성은 물론 사회적, 국제적 평화에 배치되기 때문이다.46)
  • III. 인간의 연대성
  • 1939 ‘우정’이나 ‘사회적 사랑’이라고도 하는 연대성의 원리는 인간적이고 그리스도인다운 형제애가 직접 요구하는 것이다.47)
  • 오늘날 만연되어 있는 오류는 바로, 모든 사람의 기원의 공통성을 통해서, 속해 있는 민족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지닌 이성적 본성의 평등성을 통해서, 그리고 죄지은 인류를 위해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의 제단에서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 드린 속량의 희생을 통해서 천명되고 부과된 인간의 연대성과 사랑의 이 법을 망각하고 있다는 것입니다.48)
  • 1940 먼저 연대성은 이익의 분배와 근로에 대한 보수에서 드러난다. 연대성은 또한 긴장을 더욱 잘 해소하며, 협상으로 갈등을 쉽게 해결하는 더욱 공정한 사회 질서를 위한 노력을 전제로 한다.
  • 1941 사회-경제적 문제들은 모든 형태의 연대성의 도움으로만 해결될 수 있다. 가난한 사람들 사이의 연대성, 부자와 가난한 사람들 사이의 연대성, 기업에서 근로자들 사이의 연대성과 고용주와 고용인 사이의 연대성, 국가와 민족들 사이의 연대성 등이 그러하다. 국제적 연대성은 도덕적 차원의 요구이다. 세계 평화는 부분적으로는 여기에 달려 있다.
  • 1942 연대성이라는 덕은 물질적 이익을 초월한다. 교회는 신앙의 영적 재화를 널리 나누어 주면서 나아가 세속적 부의 발전도 도왔으며 이를 위한 새로운 길을 열어 준 일도 종종 있었다. 이로써 오랜 세월이 흐르는 동안 “너희는 먼저 하느님의 나라와 그분의 의로움을 찾아라. 그러면 이 모든 것도 곁들여 받게 될 것이다.”(마태 6,33) 하신 주님의 말씀이 입증되었다.
  • 이천 년 동안 어제나 오늘이나 사람들을 영웅적 사랑으로 이끌어 왔고, 지금도 그렇게 하고 있는 위대한 정신이 교회 안에 계속 살아 있습니다. 농사짓는 수도자들, 노예 해방자들, 병을 치유하는 사람들, 그리고 모두가 인간답고 그리스도인다운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사회 여건을 만들고자 신앙과 문명과 지식을 모든 시대, 모든 민족에게 전달하는 사람들이 바로 그들입니다.49)
  • 간추림
  • 1943 사회는 단체와 개인들이 마땅히 받아야 할 것들을 받을 수 있게 하는 조건들을 실현함으로써 사회 정의를 보장한다.
  • 1944 인격을 존중하는 사람은 남을 ‘또 다른 나’로 여긴다. 인격을 존중할 때 인간의 존엄성 그 자체에서 유래하는 기본권도 존중하게 될 것이다.
  • 1945 사람들 사이의 평등에는 그들의 인간적 존엄성과 그 존엄성에서 유래하는 권리의 평등도 따른다.
  • 1946 사람들 사이의 차이는 그들이 서로 도움을 주고받을 필요를 느끼도록 하시는 하느님의 계획에 속하는 것이다. 그 차이들은 사랑을 불러일으켜야 한다.
  • 1947 인간의 동등한 존엄성은 지나친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도록 요구한다. 인간 존엄성은 부당한 불평등의 퇴치를 촉구한다.
  • 1948 연대성은 그리스도교의 뛰어난 덕목이다. 연대성은 물질적 재화보다는 영적 재화의 나눔에 더욱 힘쓴다.
  • 제 3 장 하느님의 구원: 법과 은총
  • 1949 영원한 행복에 초대받았지만, 죄 때문에 상처 입은 인간에게는 하느님의 구원이 필요하다. 하느님의 도우심은 그리스도 안에서, 인간을 인도하는 법을 통하여 그리고 인간을 지탱해 주는 은총을 통하여 주어진다.
  • “두렵고 떨리는 마음으로 여러분 자신의 구원을 위하여 힘쓰십시오. 하느님은 당신 호의에 따라 여러분 안에서 활동하시어, 의지를 일으키시고 그것을 실천하게도 하시는 분이십니다”(필리 2,12-13).
  • 제1절 도덕률
  • 1950 도덕률은 하느님의 지혜의 작품이다. 성서적 의미에서 도덕률은 하느님의 자애로운 가르침, 그분의 교육 방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도덕률은 약속된 행복으로 인도하는 길과 행동 규범을 인간에게 제시해 주며, 하느님과 하느님의 사랑에서 벗어나게 하는 악의 길을 피하라고 가르친다. 도덕률의 규범은 엄격하지만, 그것이 약속하는 바는 감미롭다.
  • 1951 법은 자격이 있는 권위가 공동선을 위해 공포한 행동 규칙이다. 도덕률은 인간들 사이에, 그들의 선익을 위해 또 그들의 목적에 비추어, 창조주의 권능과 지혜와 선으로 세워진 합리적 질서를 전제로 한다. 모든 법의 기본적이고 궁극적인 진리는 ‘영원법’에서 비롯한다. 법이란 만민의 창조주이시며 구원자이시고 살아 계신 하느님의 섭리에 참여하는 것이라고 이성은 선언하고 확증한다. “이성이 내리는 이러한 규정을 바로 법이라 한다.”1)
  • 살아 있는 존재들 가운데 오직 인간만이 하느님에게서 법을 받을 만한 존재였다는 사실을 자랑할 수 있습니다. 이해하고 식별할 능력이 있는 이성을 가진 동물인 인간은 그에게 모든 것을 맡기신 분께 기꺼이 복종하면서 그의 자유와 이성을 사용해서 자신의 행동을 규제해야 합니다.2)
  • 1952 도덕률은 다양하게 표현되는데, 이 표현들은 모두 서로 연관되어 있다. 모든 법의 근원이며 하느님 안에 있는 영원법, 자연법, 옛 율법과 복음이라고 하는 새 율법을 포함한 계시된 법, 그리고 국법과 교회법 등이 그러하다.
  • 1953 도덕률은 그리스도를 통해서 완전해지고 하나로 통합된다. 사람이 되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바로 완덕에 이르는 길이시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만 하느님의 정의를 가르쳐 주시기 때문에, 그분은 법의 마침이시다. “사실 그리스도는 율법의 끝이십니다. 믿는 이는 누구나 의로움을 얻게 하십니다”(로마 10,4).
  • I. 자연법
  • 1954 인간은 자신의 행위에 대한 자제력과, 진리와 선을 향해 자신을 다스릴 능력을 주시는 창조주의 지혜와 선에 참여한다. 자연법은 인간에게 선과 악이 무엇이며, 진리와 거짓이 무엇인지를 이성으로써 식별할 수 있게 하는 타고난 도덕의식의 표현이다.
  • 자연법은 모든 인간 개개인의 마음에 적혀 있고 새겨져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선을 행하도록 명하고 죄짓는 것을 금하는 인간의 이성이기 때문입니다.……그러나 인간 이성의 이러한 명령도, 그것이 우리의 정신과 우리의 자유가 복종해야 하는 더 높은 이성의 목소리이자 또한 해석자가 아니라면, 법으로서 효력을 가지지 못할 것입니다.3)
  • 1955 하느님 법[神法]인 자연법은4) 인간이 선을 행하고 자신의 목적에 다다르기 위해 따라야 할 길을 제시해 준다. 자연법은 도덕 생활을 규제하는 기본적이며 가장 중요한 규범들을 표명하고 있다. 자연법의 주축은 모든 선의 원천이시며 심판자이신 하느님에 대한 열망과 복종이며, 타인을 자기 자신과 대등하게 여기는 의식이다. 자연법의 주요한 규정들은 십계명에 제시되어 있다. 이 법을 자연법(lex naturalis)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그것이, 비이성적인 존재들의 본성과 연관되기 때문이 아니라, 이 법을 규정하는 이성이 인간 본성(natura)에 고유한 것이기 때문이다.
  • 이 규칙들이 ‘진리’라고 하는 그 빛의 책에 씌어 있지 않고, 도대체 다른 어디에 씌어 있겠는가- 모든 정의로운 법은 그 빛의 책에 씌어 있으며, 거기에서 정의를 구현하는 인간의 마음속으로 건너간다. 법이 사람에게로 옮겨 가는 것이 아니라, 인장(印章)이 마치 반지에서 밀랍으로 건너가는 것 같아도 그대로 반지에 남아 있듯이 법은 인간 안에 새겨지는 것이다.5)
  • 자연법은 하느님께서 우리 안에 넣어 주신 지성의 빛 외에 다른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 빛을 통해서 해야 할 것과 피해야 할 것을 인식한다. 이 빛, 곧 이 법은 하느님께서 창조 때 인간에게 주신 것이다.6)
  • 1956 자연법은 모든 사람의 마음속에 있으며, 각자의 이성으로 확증된다. 자연법은 그 규정들에서 보편적이며, 그 권위는 모든 사람에게 미친다. 자연법은 인간의 존엄성을 나타내고, 인간의 기본 권리와 의무들의 기초가 된다.
  • 참된 법이 있으니, 그 법은 올바른 이성이다. 이 법은 인간 본성에 부합하며, 모든 사람에게 주어졌다. 이 법은 불변하고 영원하며, 그 규정은 의무감을 촉구하고, 그 금지령은 과오를 방지한다. ……이 법은 변질시켜서도 아니 되고, 그 일부를 폐지해서도 아니 된다. 이 법을 완전히 폐기할 수 없다.7)
  • 1957 자연법은 매우 다양하게 적용된다. 자연법은 장소와 시대와 상황에 따라 다양한 생활 조건들에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문화가 다양함에도 자연법은 사람들을 서로 연결해 주고, 피할 수 없는 차이점들을 넘어서서 모든 사람에게 공통 원칙들을 제시하는 기준으로 남아 있다.
  • 1958 자연법은 불변하고 역사의 변동을 거치면서도 그대로이다.8) 사상과 풍속의 흐름 속에서도 존속하며, 그 사상과 풍속의 진보를 뒷받침한다. 자연법을 표현하는 규범들은 근본적으로 유효한 채로 남아 있다. 설령 자연법의 원칙들을 부인한다 하더라도, 그렇다고 그것을 파기할 수는 없으며, 인간의 마음에서 제거해 버릴 수도 없다. 자연법은 개인 생활과 사회생활 안에서 언제나 되살아난다.
  • 주님, 당신의 법이, 죄악으로도 말살할 수 없는 인간 마음에 쓰인 법이, 도둑질을 처벌한다는 것은 틀림없사옵니다.9)
  • 1959 창조주의 매우 훌륭한 작품인 자연법은, 인간의 선택을 이끄는 도덕규범의 체계를 세울 수 있는 튼튼한 기초가 된다. 또 자연법은 인간 공동체들을 건설하는 데에 필수 불가결한 도덕적 기초가 된다. 결국, 자연법은 국법과 관계가 있을 뿐 아니라 국법의 필수적 토대가 된다. 국법은 자연법의 원칙들을 살펴 결론을 내리기도 하고, 자연법에 실질적이거나 법률적인 요소들을 더하기도 한다.
  • 1960 모든 사람이 자연법의 규범들을 분명하게 즉각적으로 지각하는 것은 아니다. 현재의 상황에서 모든 사람이 “어렵지 않게, 흔들리지 않는 확실성을 가지고, 오류의 혼동 없이”10) 종교적이며 윤리적인 진리들을 인식할 수 있으려면 죄인인 인간에게 은총과 계시가 필요하다. 자연법은 성령의 활동에 따라 하느님께서 마련하신 토대를 계시된 법과 은총에 제공해 준다.
  • II. 옛 법
  • 1961 우리의 창조주이시며 구원자이신 하느님께서는 이스라엘을 당신 백성으로 선택하시어 그들에게 당신의 법을 계시해 주셨으며, 이로써 그리스도의 강생을 준비하셨다. 모세의 율법은 이성으로써 자연스럽게 감지할 수 있는 여러 진리들을 표현하고 있는데, 이 진리들은 구원의 계약 안에서 공포되고 권위있게 확인되었다.
  • 1962 옛 법은 계시된 법의 첫 단계이다. 그 윤리적 명령들은 십계명에 요약되어 있다. 십계명은 하느님의 모습으로 창조된 인간의 소명의 기초가 되는 것이다. 곧 그 계명들은 하느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에 어긋나는 것을 금하고, 그 사랑을 위한 기본적인 행실을 명하고 있다. 십계명은 인간에게 하느님의 부르심과 하느님의 길을 나타내 보이고, 인간을 악에서 보호하려고 모든 사람의 양심에 하느님께서 주신 빛이다.
  • 하느님께서는 인간이 자신의 마음에서 읽지 못하던 그것을 율법의 돌 판에 새겨 주셨습니다.11)
  • 1963 그리스도교 전승에 따르면, 거룩하고,12) 영적이며,13) 좋은14) 율법은 아직 완전한 것이 아니었다. 율법은 후견인과 같이15)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제시해 주지만, 그것을 행하기 위한 성령의 능력과 은총을 스스로 주지는 못했다. 율법은 죄를 없애지 못하기 때문에 결국은 예속의 법이었다. 바오로 사도에 따르면, 율법은 특별히 사람의 마음속에서 “욕망의 법”을16) 형성하고 있는 죄를 고발하고 드러내는 구실을 한다. 반면에 율법은 여전히 하늘 나라로 가는 길의 첫 단계이다. 율법은 선택된 민족과 모든 그리스도인이 회개하고 구세주이신 하느님을 신뢰하도록 그들의 마음을 준비시킨다. 율법은 하느님 말씀으로서 영원히 지속되는 가르침을 제시해 준다.
  • 1964 옛 법은 복음을 준비하는 것이었다. “율법은 앞으로 일어날 일들에 대한 교육이며 예언입니다.”17) 율법은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죄에서 자유롭게 하실 해방의 업적을 예언하고 예고해 주었으며, 성령에 따르는 삶을 표현하기 위한 표상들과 ‘예형’과 상징들을 신약에 제공해 주었다. 끝으로, 율법은 지혜서들과 예언자들의 가르침으로 보충되어, 새 계약과 하늘 나라를 지향하게 된다.
  • 구약의 체제 아래서도, 사랑과 성령의 은총으로 가득 찬 사람들, 무엇보다도 먼저 영적이고 영원한 약속의 성취를 갈망하는 사람들이……있었다. 그러한 갈망 때문에 그들은 새 법과 연결되어 있었던 것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신약 아래서도 역시 새 법의 완전성과는 아직 거리가 먼 육적인 사람들, 벌에 대한 두려움과 현세에 관한 약속들을 들려줌으로써 그 도덕적인 행실을 북돋아야 할 사람들이 있다. 하여간 옛 법은 사랑을 명하면서도 “하느님의 사랑을 우리의 마음에 부어 주신”(로마 5,5) 성령의 은총을 주지는 못했다.18)
  • III. 새 법, 곧 복음의 법
  • 1965 새 법, 곧 복음의 법은 자연법이거나 또는 계시된 법인 하느님의 법을 이 세상에서 완성한 것이다. 복음의 법은 그리스도의 업적이며, 특별히 산상 설교에 표현되어 있다. 복음의 법은 또한 성령의 업적이니, 성령을 통하여 이 법이 사랑의 내적인 법이 된다. “보라, 그날이 온다. 그때에 나는 이스라엘 집안과 유다 집안과 새 계약을 맺으리라.……나는 그들의 생각 속에 내 법을 넣어 주고 그들의 마음에 그 법을 새겨 주리라. 그리하여 나는 그들의 하느님이 되고, 그들은 나의 백성이 되리라”(히브 8,8.10).19)
  • 1966 새 법은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을 통하여 신자들이 받게 되는 성령의 은총이다. 이 법은 사랑을 통해 작용하고, 마땅히 해야 할 바를 우리에게 가르치려고 우리 주님의 산상 설교를 이용하며, 이를 행할 수 있는 은총을 우리에게 주려고 성사들을 활용한다.
  • 마태오 성인의 복음에서 읽게 되는, 우리 주님께서 설파하신 산상 설교를 경건한 마음과 통찰력으로 묵상하기를 원하는 사람은 틀림없이 그리스도인 생활의 ‘대헌장’을 거기에서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이 설교에는 그리스도인의 삶을 지도하기에 적합한 규범이 모두 들어 있습니다.20)
  • 1967 복음의 법은 옛 법을 완성하며,21) 정화하고, 능가하며, 완전하게 한다. 참행복 안에서 복음의 법은 하느님의 약속을 성취한다. 약속은 한층 드높여져 하느님 나라를 향한 것으로 밝혀졌다. 복음의 법은 이러한 새 희망을 신앙으로 받아들일 마음을 지닌 사람들, 곧 가난한 사람, 겸손한 사람, 슬퍼하는 사람, 마음이 깨끗한 사람, 그리스도 때문에 박해를 받는 사람들에게 하늘 나라를 향한 놀라운 길을 제시한다.
  • 1968 복음의 법은 율법의 계명들을 완성한다. 주님의 산상 설교는 옛 법의 윤리적 규정들을 폐지하거나 과소 평가하지 않고, 오히려 그 규정 안에 감추어져 있는 가능성을 드러내고, 새로운 요구들을 분출하게 한다. 산상 설교는 옛 법의 신적이며 인간적인 진리를 모두 드러낸다. 산상 설교는 새로운 외적 규정을 첨가하지 않지만, 행동의 근원인 마음을 개선하도록 인간을 이끈다. 마음은 인간이 깨끗한 것과 더러운 것 중에서 선택하고,22) 믿음과 희망과 사랑이 심화되며, 이러한 덕들과 더불어 다른 덕성들이 다져지는 본래의 자리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복음은 율법을 완성하여23) 인간이 하늘에 계신 아버지의 완전하심을 본받게 하고, 너그러우신 하느님처럼 원수를 사랑하고 박해자들을 위해 기도하게 한다.24)
  • 1969 새 법은 자선, 기도, 단식 등의 종교적 행위들을 실천하게 한다. 그런데 그와 같은 행위들은 “사람들에게 보이려는” 욕심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숨은 일도 보시는 아버지”께25) 향하게 하는 행위들인 것이다. 새 법의 기도는 ‘주님의 기도’이다.26)
  • 1970 복음의 법은 또한 ‘두 길’27) 가운데에서 결정적인 선택을 하고, 주님의 말씀을 실천할 것을28) 명한다. “남이 너희에게 해 주기를 바라는 그대로 너희도 남에게 해 주어라. 이것이 율법과 예언서의 정신이다”(마태 7,12).29) 복음의 법은 이 황금률 안에 요약되어 있다.
  • 복음의 법 전체는 예수님께서 우리를 사랑하신 것처럼 우리도 서로 사랑하라는30) 예수님의 새 계명에31) 들어 있다.
  • 1971 주님의 산상 설교에 사도들이 가르친 윤리적 교리 교육을 합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테면 로마 12─15장, 1코린 12─13장, 콜로 3─4장, 에페 4─5장 등이다. 이러한 교리는 주님의 가르침을 사도들의 권위로써 전달하는 것인데, 특별히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에서 비롯하여 성령의 주요한 선물인 사랑으로 힘을 얻는 덕들에 관한 설명의 경우가 그러하다. “사랑은 거짓이 없어야 합니다.……형제애로 서로 깊이 아끼고……희망 속에 기뻐하고 환난 중에 인내하며 기도에 전념하십시오. 궁핍한 성도들과 함께 나누고 손님 접대에 힘쓰십시오”(로마 12,9-13). 이러한 교리 교육은 또한 우리가 그리스도와 교회와 맺고 있는 관계에 비추어 양심의 문제들을 해결하도록 가르치고 있다.32)
  • 1972 새 법은 두려움 때문에 행동하기보다는 오히려 성령께서 불어넣어 주시는 사랑에 따라 행동하기 때문에 사랑의 법이라고 부른다. 또한 신앙과 성사들로써 행동하도록 은총의 힘을 주기 때문에 은총의 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새 법은 또한 자유의 법이라고도33) 하는데, 이는 새 법이 의식적(儀式的)이고 법률 지상주의적인 율법 준수를 요구하던 옛 법에서 우리를 해방시켜 사랑의 자극을 받아 기꺼이 행동하도록 우리를 이끌어 주기 때문이다. 마침내 “주인이 하는 일을 모르는 종”의 신분에서 “아버지에게서 들은 것을 모두 알려 주시어”(요한 15,15) 그리스도의 벗이라는 신분으로, 나아가 상속을 받을 아들의 신분으로34) 우리를 드높여 주기 때문이다.
  • 1973 새 법에는 계명들 외에 복음적 권고들도 포함되어 있다. 하느님의 계명과 복음적 권고의 전통적 구별은 그리스도인 삶의 완성인 사랑과 관련지어서 정립된다. 계명은 사랑과 양립될 수 없는 것들을 피하도록 하는 것이며, 권고는 사랑에 어긋나지는 않아도 사랑을 발전시키는 데에 장애가 될 수 있는 것을 피하도록 하는 것이다.35)
  • 1974 복음적 권고는, 더 많이 베풀어 주지 못하여 언제나 만족할 수 없는, 생생하고 충만한 사랑을 드러낸다. 복음적 권고는 사랑의 열정을 증언하고, 우리에게 영적으로 민첩한 자세를 갖추게 한다. 새 법의 완전성은 근본적으로 하느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의 계명으로써 이루어져 있다. 더 직접적인 길과 더 용이한 방법을 깨닫게 하는 복음적 권고들은 각 사람이 자기 소명에 따라 실천해야 할 것이다.
  • 하느님께서는 누구나 복음의 권고들을 모두 지키기를 원하지 않으시고, 다만 사랑이 요구하는 바와 같이, 각 개인과 때와 기회와 능력의 다양성에 따라, 당사자에게 적합한 권고만이 지켜지기를 원하십니다. 모든 덕과 계명과 권고, 한마디로 모든 법과 그리스도인다운 행위의 여왕이 되는 사랑 그 자체가 그 모든 것에 자리와 순위, 때와 가치를 부여하기 때문입니다.36)
  • 간추림
  • 1975 성경에 따르면, 율법은 사람들에게, 약속된 행복에 인도하는 길을 제시하고 악의 길을 금하는 하느님의 부성적 가르침이다.
  • 1976 “법은 한 공동체를 맡은 사람이 반포한, 공동선을 지향하는 이성의 명령이다.”37)
  • 1977 그리스도께서는 율법의 마침이시다.38) 그리스도께서만 하느님의 정의를 가르치시고 베풀어 주신다.
  • 1978 창조주의 모습으로 창조된 인간은 자연법에 따라서 하느님의 지혜와 선의에 참여한다. 자연법은 인격의 존엄성을 나타내며, 인간의 기본 권리와 의무들의 기초를 이룬다.
  • 1979 자연법은 불변하며, 역사 속에서 존속한다. 자연법을 표현하는 규범들은 근본적으로 유효하다. 자연법은 도덕규범 확립의 기초이며 국법의 필수적 토대이다.
  • 1980 옛 법은 계시된 법의 첫 단계이다. 옛 법의 윤리적인 명령은 십계명에 요약되어 있다.
  • 1981 모세 율법에는 인간이 이성으로 자연히 알 수 있는 여러 가지 진리가 담겨 있다. 사람들이 그들의 마음속에서 그 진리들을 깨닫지 못했기 때문에 하느님께서 그것들을 계시해 주셨다.
  • 1982 옛 법은 복음을 위한 일종의 준비이다.
  • 1983 새 법은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으로 받은 성령의 은총으로서, 이 은총은 사랑을 통해 작용한다. 새 법은 주님의 산상 설교 안에 표현되어 있고, 우리에게 은총을 베풀어 주기 위해서 성사들을 활용한다.
  • 1984 복음의 법은 옛 법을 완성하고, 능가하며, 완전하게 한다. 곧 하늘 나라의 참행복으로 그 약속들을 성취하며, 인간 행위의 근원인 마음을 새롭게 해 줌으로써 그 계명들을 완성한다.
  • 1985 새 법은 사랑의 법이며, 은총의 법이고, 자유의 법이다.
  • 1986 새 법은 그 계명들 외에 복음적 권고들도 포함한다. “교회의 성덕은 특별한 방식으로 주님께서 복음에서 당신 제자들에게 준수하도록 제시하신 여러 가지 권고로써 증진된다.”39)
  • 제2절 은총과 의화
  • I. 의화
  • 1987 성령의 은총에는 우리를 의화(義化)하는 힘이 있다. 곧, 성령의 은총은 우리의 죄를 씻어 주고,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써” 그리고 세례를 통하여40) “하느님과 올바른 관계”를41) 누리게 해 준다.
  • 우리가 그리스도와 함께 죽었으니 그분과 함께 살리라고 우리는 믿습니다. 우리는 그리스도께서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되살아나시어 다시는 돌아가시지 않으리라는 것을 압니다. 죽음은 더 이상 그분 위에 군림하지 못합니다. 그분께서 돌아가신 것은 죄와 관련하여 단 한 번 돌아가신 것이고, 그분께서 사시는 것은 하느님을 위하여 사시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여러분 자신도 죄에서는 죽었지만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서 하느님을 위하여 살고 있다고 생각하십시오(로마 6,8-11).
  • 1988 성령의 권능을 통하여, 우리는 죄에 대해 죽음으로써 그리스도의 수난에 참여하고, 새 생명으로 태어남으로써 그리스도의 부활에 참여한다. 우리는 교회인 그리스도의 몸의 지체들이며,42) 참포도나무 곧 그리스도 자신의 가지들이다.43)
  • 성령을 통해서, 우리 모두는 하느님과 함께하게 되었습니다. 성령을 나누어 받음으로써 우리는 하느님의 본성에도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성령께서 머물러 계시는 사람들은 하느님처럼 됩니다.…….44)
  • 1989 성령의 은총이 작용하여 내는 첫 결실은 회개이다. 복음서의 첫 대목에 나오는, “회개하여라. 하늘 나라가 가까이 왔다.”(마태 4,17) 하신 예수님의 선포에 따라, 회개는 우리를 의롭게 해 준다. 은총의 작용으로 인간은 하느님께 향하고 죄에서 멀어져 위로부터 오는 용서와 의화를 받아들인다. “의화는 단순히 죄를 용서받는 것뿐만 아니라, 또한 성화와 내적 인간의 쇄신도 내포한다.”45)
  • 1990 의화는 하느님 사랑을 거스르는 죄에서 인간을 풀어 주고, 인간의 마음을 죄에서 정화시켜 준다. 의화는 자비로우신 하느님께서 주도적으로 베풀어 주신 용서에 뒤이어 이루어진다. 의화는 인간을 하느님과 화해시키며, 죄의 예속에서 해방시키고, 치유해 준다.
  • 1991 이와 동시에, 의화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을 통해 하느님의 의로움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여기에서 하느님의 의로움이란 하느님 사랑의 공정함을 가리킨다. 의화와 함께 믿음과 희망과 사랑도 우리의 마음 안에 스며들고, 우리는 하느님 뜻에 순종하게 된다.
  • 1992 그리스도의 수난으로 우리는 의로워질 수 있게 되었다. 그리스도께서는 십자가 위에서 하느님 뜻에 맞는 거룩한 산 제물로 자신을 바치셨으며, 그분의 피는 모든 사람의 죄를 위한 속죄의 도구가 되었다. 의화는 신앙의 성사인 세례로 주어진다. 의화는 당신 자비의 능력으로 우리를 내적으로 의롭게 하시는 하느님의 의로우심에 우리를 부합하게 한다. 의화의 목적은 하느님과 그리스도께 영광을 드리고, 인간에게는 영원한 생명의 선물을 주는 것이다.46)
  • 그러나 이제는 율법과 상관없이 하느님의 의로움이 나타났습니다. 이는 율법과 예언자들이 증언하는 것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통하여 오는 하느님의 의로움은 믿는 모든 이를 위한 것입니다. 거기에는 아무 차별도 없습니다. 모든 사람이 죄를 지어 하느님의 영광을 잃었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서 이루어진 속량을 통하여 그분의 은총으로 거저 의롭게 됩니다. 하느님께서는 예수님을 속죄의 제물로 내세우셨습니다. 예수님의 피로 이루어진 속죄는 믿음으로 얻어집니다. 사람들이 이전에 지은 죄들을 용서하시어 당신의 의로움을 보여 주시려고 그리하신 것입니다. 이 죄들은 하느님께서 관용을 베푸실 때에 저질러졌습니다. 지금 이 시대에는 하느님께서 당신의 의로움을 보여 주시어, 당신께서 의로우신 분이며 또 예수님을 믿는 이를 의롭게 하시는 분임을 드러내십니다(로마 3,21-26).
  • 1993 의화는 하느님의 은총과 인간의 자유 사이에 협력 관계를 이룬다. 인간 편에서, 의화는 회개를 촉구하시는 하느님의 말씀에 대한 신앙의 동의 안에서, 그리고 그 동의에 앞서고 그것을 보전하시는 성령의 이끄심에 사랑으로 협력하는 행위를 통해서 표현된다.
  • 하느님께서 성령의 비추심으로 인간의 마음을 감동시켜 주실 때, 인간은 거절할 수도 있는 이 감동을 아무런 반응 없이 받아들이기만 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하느님의 은총 없이는 인간은 그의 자유 의지로써 하느님 앞에서 의화를 향해 나설 수 없다.47)
  • 1994 의화는 하느님 사랑의 가장 뛰어난 업적이다. 하느님 사랑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 나타나며 성령을 통해 주어진다. 아우구스티노 성인에 따르면, “불경한 사람의 의화는 하늘과 땅의 창조보다도 더 위대한 일”이다. “하늘과 땅은 사라지겠지만, 선택된 사람들의 구원과 의화는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기”48) 때문이다. 그는 또한 죄인들의 의화는 천사들을 의롭게 창조한 일을 능가하며, 그것은 죄인의 의화가 더 큰 자비를 드러내 주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 1995 성령은 내적 생활의 스승이시다. “내적 인간”을49) 태어나게 하는 의화는 인간 존재 전체의 성화에까지 미친다.
  • 나는 여러분이 지닌 육의 나약성 때문에 사람들의 방식으로 말합니다. 여러분이 전에 자기 지체를 더러움과 불법에 종으로 넘겨 불법에 빠져 있었듯이, 이제는 자기 지체를 의로움에 종으로 바쳐 성화에 이르십시오. 그런데 이제 여러분이 죄에서 해방되고 하느님의 종이 되어 얻는 소득은 성화로 이끌어 줍니다. 또 그 끝은 영원한 생명입니다(로마 6,19.22).
  • II. 은총
  • 1996 우리는 하느님의 은총으로 의화된다. 은총은 하느님의 자녀50) 곧 양자가 되고51) 신성(神性)과52) 영원한 생명을53) 나누어 받는 사람이 되라는 하느님의 부름에 응답하도록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베푸시는 호의이며 거저 주시는 도움이다.
  • 1997 은총은 하느님의 생명에 대한 참여이다. 곧 은총은 우리를 성삼위의 내적 생활 안으로 이끌어 준다. 그리스도인은 세례로 신비체의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은총을 받는다. 그는 ‘양자’로서, 외아들과 결합되어, 이제는 하느님을 ‘아버지’라고 부를 수 있게 되었다. 그에게 사랑을 불어넣어 주시고 교회를 이루시는 성령의 생명을 누리는 것이다.
  • 1998 영원한 생명에 대한 이러한 부름은 초자연적인 것이다. 이 부름은 스스로 거저 베푸시는 하느님께 전적으로 달려 있는 것이다. 하느님께서만 당신을 계시하시고 당신을 주실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부름은 인간 지성의 능력과 의지의 힘을 초월하며, 어떤 피조물의 능력과 힘도 초월한다.54)
  • 1999 그리스도의 은총은 무상의 선물이며, 하느님께서 우리 영혼을 죄에서 치유하여 거룩하게 하시려고 성령을 통해서 우리의 영혼 안에 불어넣어 주시는 당신 생명이다. 이 은총은 세례로써 받는 성화 은총(聖化恩寵, gratia santificans) 또는 신화 은총(神化恩寵, gratia deificans)이다. 이 은총은 우리 안에서 성화 활동의 샘이 된다.55)
  •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그는 새로운 피조물입니다. 옛것은 지나갔습니다. 보십시오, 새것이 되었습니다. 이 모든 것은 그리스도를 통하여 우리를 당신과 화해하게 하시고 또 우리에게 화해의 직분을 맡기신 하느님에게서 옵니다(2코린 5,17-18).
  • 2000 성화 은총은 사람이 하느님과 함께 살고, 하느님의 사랑으로 행동할 수 있도록 그 사랑을 완전하게 하는 상존 은총(常存恩寵, gratia habitualis)이며, 지속적이고 초자연적인 성향이다. 이 성화 은총, 곧 하느님의 부르심에 따라 살고 행동하고자 하는 변함없는 마음가짐인 상존 은총은, 회개의 시작이나 성화 활동의 과정에서 하느님의 개입을 가리키는 조력 은총(助力恩寵, gratia actualis)과는 구별된다.
  • 2001 은총을 받아들이도록 인간을 준비시키는 것은 은총이 이미 작용한 결과이다. 은총은 우리가 신앙을 통한 의화와 사랑을 통한 성화에 계속 협력하도록 하는 데 필요하다. 하느님께서는 우리 안에 시작하신 일을 완성하신다. “사실 하느님께서는 우리의 원의(願意)를 일으키심으로써 일을 시작하시며, 우리의 의지에 협력하심으로써 일을 완성하십니다.”56)
  • 우리도 일한다는 것은 확실합니다. 그러나 일하시는 하느님과 함께 일할 뿐입니다. 하느님의 자비가 우리를 앞서기 때문입니다. 우리를 치유하고자 하느님의 자비는 우리에 앞서 있고, 일단 치유가 된 뒤에는 활기를 주려고 우리의 뒤를 따르십니다. 하느님의 자비는 우리가 부름을 받도록 우리를 앞서 있고, 우리가 영광스럽게 되도록 우리를 뒤따릅니다. 하느님의 자비는 우리가 경건한 마음으로 살도록 우리를 앞서 있고, 우리가 영원히 하느님을 모시고 살도록 우리를 뒤따릅니다. 하느님 없이 우리는 아무것도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57)
  • 2002 하느님의 자유로운 주도(主導)는 인간의 자유로운 응답을 요구한다. 왜냐하면 하느님께서는 인간을 당신의 모습으로 창조하시고, 그에게 자유와 더불어, 당신을 알고 사랑할 능력을 주셨기 때문이다. 사람은 자유로울 때에만 사랑의 친교를 이룰 수 있다. 하느님께서는 인간의 마음을 직접 감동시켜 주시고 직접 움직이신다. 하느님께서는 당신께서만 채워 주실 수 있는 진리와 선에 대한 갈망을 인간 안에 심어 주셨다. ‘영원한 생명’에 대한 약속은, 모든 기대 이상으로 그 갈망을 충족시킨다.
  • 당신께서 고요한 가운데 창조의 일을 하셨어도, 매우 좋은 그 일을 끝내신 뒤 이렛날에 안식을 취하셨다고 성경의 말씀이 말해 주는 것은, 당신께서 주셨기에 매우 좋은 일들을 한 뒤에 우리도 영원한 생명의 안식을 당신 안에서 누리게 하신다는 것입니다.58)
  • 2003 은총은 먼저, 그리고 주로 우리를 의롭고 거룩하게 하시는 성령의 선물이다. 그러나 은총에는 성령께서 우리를 당신 사업에 참여시키고, 우리를 다른 사람들의 구원과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의 성장에 이바지할 수 있게 하시려고 우리에게 내려 주시는 선물들도 포함된다. 이 선물들 중에는 각 성사의 고유한 은혜인 성사 은총도 있고, 바오로 사도가 사용한 그리스 말을 따라서 카리스마(charisma)라고 부르기도 하는 특별한 은총[特恩] 또는 은사들도 있다. 카리스마는 호의, 무상의 선물, 은혜를 의미한다.59) 기적이나 이상한 언어의 은사와 같이 때로는 예외적인 그 은사의 성격이 어떻든 간에, 카리스마는 성화 은총을 위하여 있는 것이며, 또 교회의 공동선을 목적으로 한다. 카리스마는 교회를 건설하는 사랑에 이바지하는 것이다.60)
  • 2004 특은들 중에서, 그리스도인의 삶의 책임을 완수하고 교회 안에서 직무를 수행하는 데 따르는 직분의 은총을 언급하는 것은 마땅한 일이다.
  • 우리는 저마다 하느님께서 베푸신 은총에 따라 서로 다른 은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것이 예언이면 믿음에 맞게 예언하고, 봉사면 봉사하는 데에 써야 합니다. 그리고 가르치는 사람이면 가르치는 일에, 권면하는 사람이면 권면하는 일에 힘쓰고, 나누어 주는 사람이면 순수한 마음으로, 지도하는 사람이면 열성으로, 자비를 베푸는 사람이면 기쁜 마음으로 해야 합니다(로마 12,6-8).
  • 2005 은총은 초자연적인 것이므로 우리의 감각 기관에 감지되지 않으며, 신앙으로만 인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의 감정이나 업적을 근거로 해서 우리가 의롭게 되고 구원받았다고 추론할 수 없다.61) 그러나 “너희는 그들이 맺은 열매를 보고 그들을 알아볼 수 있다.”(마태 7,20)고 하신 주님의 말씀대로, 우리가 우리 삶과 성인들의 삶 안에서 하느님께서 주신 은혜를 생각할 때, 은총이 우리 안에 활동하고 있다는 보장도 받고, 우리가 갈수록 더 커져 가는 신앙과 신뢰하는 청빈의 태도를 지니도록 자극도 받는다.
  • 이러한 마음가짐의 가장 아름다운 예는, 교회의 재판관들이 함정에 빠뜨리려고 한 질문에 대해 잔 다르크 성녀가 한 답변에서 볼 수 있다. “잔 다르크 성녀는 자신이 하느님의 은총 중에 있음을 아느냐는 질문에 이렇게 대답한다. ‘만일 제가 은총 중에 있지 않다면 하느님께서 저를 은총의 상태에 두시기를 바라며, 만일 제가 은총 중에 있다면 저를 그 상태에 머물러 있게 해 주시기를 바랍니다.’”62)
  • III. 공로
  • 아버지께서는 성인들 가운데서 찬미를 받으시며 그들의 공로를 갚아 주시어 주님의 은총을 빛내시나이다.63)
  • 2006 일반적으로, ‘공로’(meritum)라는 말은 공동체나 사회가 그 구성원의 행실에 대해 마땅히 주는 보상을 가리킨다. 그것이 선행일 때는 상이 주어지고, 악행일 때는 벌이 주어진다. 공로는 정의의 덕과 관계되며 정의의 원리인 공평에 상응하는 것이다.
  • 2007 엄밀히 말해서, 하느님 앞에서 공로를 내세울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우리는 모든 것을 우리의 창조주께 받았기 때문에, 그분과 우리 사이의 차이는 이루 헤아릴 길이 없다.
  • 2008 그리스도인의 삶에서 하느님에 대한 인간의 공로는 하느님께서 인간을 당신 은총에 협력하도록 자유로이 안배하셨다는 사실에서 기인한다. 하느님의 어버이다운 활동은 인간을 감도하심으로써 시작되며, 반면에 협력을 통한 인간의 자유로운 행실은 그 뒤를 잇는 것이다. 따라서 선행의 공로는 무엇보다도 먼저 하느님의 은총으로 돌려야 하고, 그다음으로 신앙인에게 돌려야 한다. 실제로 인간의 공로 자체도 당연히 하느님께 돌려 드려야 하는데, 인간의 선행들은 그리스도 안에서, 성령의 주도와 도움에서 비롯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 2009 하느님의 본성에 참여시켜 주는 은총으로 말미암아 하느님의 자녀가 된 우리에게, 하느님께서는 거저 베푸시는 의로움의 결과로 참된 공로를 베풀어 주실 수도 있다. 바로 이것은 우리를 그리스도와 “공동 상속자”가 되게 하고, “영원한 생명의 약속된 유산”을64) 받게 하는 은총에 의한 권리, 사랑의 완전한 권리이다. 우리 선행의 공로는 하느님 선의의 선물이다.65) “먼저 은총이 있었습니다. 이제는 마땅히 드려야 할 것을 드려야 합니다.……공로는 하느님께서 주시는 선물입니다.”66)
  • 2010 은총의 영역에서는 하느님께서 주도권을 행사하신다. 그러므로 회개와 용서와 의화의 기원이 되는 최초의 은총을 받을 권리가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최초의 은총을 받은 뒤 우리는 성령과 사랑의 인도를 받아, 우리 자신과 다른 이들을 위해, 우리의 성화를 위해, 은총과 사랑의 성장을 위해, 나아가 영원한 생명을 위해 필요한 은총을 받을 수 있게 하는 공로를 세울 수 있다. 지혜로우신 하느님의 뜻에 맞는 것이라면, 우리는 건강이나 우정과 같은 현세적 선익까지도 받게 하는 공로가 되는 일을 할 수도 있다. 이 모든 은총과 선익은 그리스도인이 기도로써 청하는 것들이다. 기도는 공로가 되는 행실에 필요한 은총을 얻게 해 준다.
  • 2011 그리스도의 사랑은 우리가 하느님 앞에서 세우는 모든 공로의 원천이 된다. 은총은 적극적인 사랑으로 우리를 그리스도와 결합시킴으로써 우리 행위에 초자연적 성격을 부여하여 결과적으로 하느님과 인간들 앞에서 공로가 되게 해 준다. 성인들은 항상 그들의 공로가 순수한 은총이라는 사실을 생생하게 의식하고 있었다.
  • 세상의 귀양살이가 끝난 다음, 저는 고향으로 돌아가 주님을 누리기를 바랍니다. 그러나 하늘 나라를 위한 공로를 쌓기를 바라지 않고, 주님의 사랑만을 위해 힘쓰기를 바랍니다.……이 생명이 끝 날 때, 저는 빈손으로 주님 앞에 서겠습니다. 저는 주님께 제 업적을 헤아려 주시기를 청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저희의 모든 의로움도 하느님께서 보시기에는 흠이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저는 주님께서 바로 그 주님의 의로움으로 저를 꾸며 주시어, 주님의 사랑으로부터 주님을 영원히 소유하기를 원합니다.67)
  • IV. 그리스도인의 성덕
  • 2012 “하느님을 사랑하는 이들, 그분의 계획에 따라 부르심을 받은 이들에게는 모든 것이 함께 작용하여 선을 이룬다는 것을 우리는 압니다. 하느님께서는 미리 뽑으신 이들을 당신의 아드님과 같은 모상이 되도록 미리 정하셨습니다. 그리하여 그 아드님께서 많은 형제 가운데 맏이가 되게 하셨습니다. 그렇게 미리 정하신 이들을 또한 부르셨고, 부르신 이들을 또한 의롭게 하셨으며, 의롭게 하신 이들을 또한 영광스럽게 해 주셨습니다”(로마 8,28-30).
  • 2013 “어떠한 신분이나 계층이든 모든 그리스도인은 그리스도교 생활의 완성과 사랑의 완덕으로”68) 부름을 받는다. 인간은 모두가 성덕의 소명을 받았다. “하늘의 너희 아버지께서 완전하신 것처럼 너희도 완전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마태 5,48).
  • 완덕에 이르고자 신자들은 그리스도께 받은 힘을 다하여……모든 일에서 하느님 아버지의 뜻을 따르고, 하느님의 영광과 이웃에 대한 봉사에 온 마음으로 헌신하여야 한다. 이렇게 하느님 백성의 성덕은 교회의 역사에서 수많은 성인들의 생활을 통하여 빛나는 증거를 보여 주었듯이 풍성한 열매를 맺어 나갈 것이다.69)
  • 2014 영적 진보는, 언제나 그리스도와 더욱더 밀접하게 결합되는 것이 그 목표이다. 이 결합을 ‘신비적’이라고 하는 것은 ‘거룩한 신비들’, 곧 성사들을 통해서 그리스도의 신비에 참여하고, 그리스도 안에서 거룩하신 삼위일체의 신비에 참여하기 때문이다. 하느님께서는 우리 모두를 당신과 더욱 깊이 결합하도록 부르신다. 그러나 모든 사람에게 거저 주시는 이 은혜를 드러나게 하시려고, 소수의 특정한 사람들에게만은 특은이나 이 신비 생활의 특별한 표징들을 주시기도 한다.
  • 2015 완덕의 길은 십자가를 거쳐 가는 길이다. 자아 포기와 영적 싸움 없이는 성덕도 있을 수 없다.70) 영적 진보는 참행복의 평화와 기쁨 안에서 살도록 점차적으로 인도하는 고행과 극기를 내포한다.
  • 올라가는 이는 아무리 ‘산 너머 산’이라 해도 끝없이 새로운 고개를 하나씩 넘어갑니다. 올라가는 이는 이미 아는 것을 차지하려는 갈망을 버리지 않습니다.71)
  • 2016 어머니이신 거룩한 교회의 자녀들은 당연히 끝까지 신앙을 지키는 은총을 바라며, 하느님의 은총으로 예수님과 일치하는 가운데 실천한 선행에 대한 하느님 아버지의 보상을 바란다.72) 신자들은 같은 생활 규범을 지켜, “신랑을 위하여 단장한 신부처럼 차리고 하늘로부터 하느님에게서 내려오는 ……거룩한 도성 새 예루살렘”(묵시 21,2)에 하느님의 자비에 힘입어 다시 모이는 사람들의 ‘복된 희망’을 나누어 가진다.
  • 간추림
  • 2017 성령의 은총은 우리에게 하느님의 의로움을 준다. 성령께서는 신앙과 세례를 통하여 우리를 그리스도의 수난과 부활에 결합시키심으로써, 우리를 그분의 생명에 참여하게 하신다.
  • 2018 회개와 마찬가지로 의화도 두 가지 측면이 있다. 하나는 은총의 자극을 받아 하느님께 향하고 죄에서 등을 돌리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그럼으로써 하늘의 용서와 의로움을 받는 것이다.
  • 2019 의화는 죄의 용서와 성화와 내적 인간의 쇄신도 내포한다.
  • 2020 의화는 그리스도께서 수난을 통하여 우리에게 얻어 주신 은총이다. 우리는 세례를 통하여 의롭게 된다. 의화는 우리를 의롭게 하시는 하느님의 의로움에 일치시킨다. 의화의 목적은 하느님과 그리스도께 영광을 드리고, 영원한 생명을 누리는 것이다. 의화는 하느님 자비의 가장 뛰어난 업적이다.
  • 2021 은총은 하느님의 자녀가 되어야 할 소명에 우리가 응답하게 하시려고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주시는 도움이다. 은총은 우리를 성삼위의 내적 생활 안으로 이끌어 준다.
  • 2022 은총의 활동 안에서 하느님께서 주도적으로 먼저 인간을 준비시키시어, 인간이 자유롭게 은총에 따르도록 마련하신다. 은총은 인간의 자유에 대한 심오한 갈망을 충족시킨다. 은총은 인간이 자유로이 은총에 협력하도록 초대하고, 그 자유를 완성시켜 준다.
  • 2023 성화 은총은 우리를 당신의 생명에 참여시키시려고 하느님께서 거저 베푸시는 선물이다. 하느님께서는 우리 영혼을 죄에서 치유하여 거룩하게 하시려고, 성령을 통해 우리 영혼 안에 이 선물을 부어 주신다.
  • 2024 성화 은총 덕분에 우리는 ‘하느님의 마음에 드는 사람’이 되는 것이다. 성령의 특은인 카리스마는 성화 은총을 위한 것이며, 교회의 공동선을 목적으로 한다. 하느님께서는 여러 가지 ‘조력 은총’으로도 보살피시는데, 이 은총들은 우리 안에 언제나 머물러 있는 ‘상존 은총’과는 구별된다.
  • 2025 우리가 하느님 앞에서 쌓는 공로는 하느님께서 당신 은총의 활동에 인간을 참여시키려는 자유로운 계획에 따르는 것일 뿐이다. 공로는 우선 하느님의 은총에 속하고, 그 다음으로 인간의 협력에 속한다. 인간의 공로 역시 하느님께 속한 것이다.
  • 2026 성령의 은총은, 하느님의 자녀가 된 우리에게 하느님께서 거저 베푸시는 의로움의 결과로 참된 공로를 세울 수 있게 한다. 사랑은 우리가 하느님 앞에서 세우는 공로의 원천이다.
  • 2027 회개의 기원이 되는 첫 은총을 받을 만한 공로를 가진 사람은 아무도 없다. 성령의 작용으로, 우리는 우리 자신과 타인을 위해 영원한 생명에 이르는 데 유용한 모든 은총뿐 아니라, 필요한 물질적 재화까지도 얻게 해 주는 공로를 쌓을 수 있다.
  • 2028 “모든 그리스도인이 그리스도교 생활의 완성과 사랑의 완덕으로” 부름을 받는다.73) “그리스도인의 완덕에는 한계가 한 가지뿐인데, 그것은 완덕에 전혀 한계점이 없다는 바로 그 점이다.”74)
  • 2029 “누구든지 내 뒤를 따라오려면, 자신을 버리고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라야 한다”(마태 16,24).
  • 제3절 어머니요 스승인 교회
  • 2030 교회 안에서 그리스도인은 세례를 받은 모든 사람과 친교를 이루어 자신의 소명을 수행한다. 그리스도인은 교회로부터 “그리스도의 법”의75) 가르침을 담고 있는 하느님 말씀을 받는다. 그리스도인은 교회로부터 “나그넷길”에서 그를 지탱해 주는 성사의 은총을 받는다. 그리스도인은 교회에서 성덕의 모범을 배우며, 지극히 거룩하신 동정 마리아 안에서 성덕의 본보기와 근원을 알아보고, 성덕을 실천하는 사람들의 참된 증거에서 성덕을 감지한다. 그리고 이 세상에서 앞서 살다 간 성인들과 교회가 전례력(典禮曆)에 맞추어 기념하는 성인들의 영성 전통과 오랜 역사에서 성덕을 확인한다.
  • 2031 윤리 생활은 영적 예배이다. 우리는 우리가 이루는 그리스도의 몸 안에서, 그리고 성찬례에서 당신을 봉헌하시는 그리스도와 함께 “우리의 몸을 하느님 마음에 드는 거룩한 산 제물로” 바친다.76) 전례와 성사 거행을 통해, 기도와 가르침은 그리스도의 은총과 결합하여 그리스도인의 생활을 비추고 키워 나간다. 그리스도인의 생활 전체가 그렇듯이, 윤리 생활도 미사성제에서 그 원천과 절정을 발견한다.
  • I. 윤리 생활과 교회의 교도권
  • 2032 “진리의 기둥이며 기초”(1티모 3,15)인 교회는 “구원의 진리를 선포하라는 그리스도의 이 장엄한 명령을 사도들에게서받았다.”77) “교회는 윤리 원칙들을 사회 질서에 관한 것까지도 언제나 어디서나 선포하고, 인간의 기본권이나 영혼의 구원에 요구되는 한에서는 어떠한 인간사에 대하여서도 판단을 내릴 소임이 있다.”78)
  • 2033 윤리 문제에 관한 교회 사목자들의 교도권은 일반적으로 신학자들과 영성가들의 도움을 받아 교리 교육과 설교를 통하여 행사된다. 이처럼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에서 나오고 또한 사랑으로 활력을 얻은 규율과 계명과 덕행의 독특한 총체로 구성된 그리스도교 윤리의 ‘유산’이 사목자들의 세심한 감독을 받으면서 세세 대대로 전해져 내려왔다. 이러한 교리 교육은 전통적으로, 신경(信經)과 주님의 기도와 더불어, 모든 사람에게 유효한 윤리 생활의 원칙을 밝혀 주는 십계명을 그 기초로 삼고 있다.
  • 2034 교황과 주교들은 “그리스도의 권위를 지닌 스승이다. 주교들은 자기에게 맡겨진 백성에게 믿고 살아가야 할 신앙을 선포한다.”79) 교황과, 그와 일치해 있는 주교들의 보편적이고 통상적인 교도권은 신자들에게 믿어야 할 진리, 실천해야 할 사랑, 그리고 희망해야 할 참행복을 가르친다.
  • 2035 그리스도의 권위에 참여하는 가장 높은 단계는 무류성(無謬性)의 은사로 보장된다. “무류성은 교회가 거룩하게 보전하고 충실히 설명하여야 할 하느님 계시의 위탁이 펼쳐지는 그만큼 펼쳐진다.”80) 또한 무류성은 윤리를 포함해서, 구원을 위한 신앙 진리들을 지키고 설명하며 보존하는 일에 필요한 모든 교리 조항에까지 미치는 것이다.81)
  • 2036 교도권의 권위는 자연법의 특정한 규정들에도 미치는데, 왜냐하면 창조주께서 요구하시는 이 규정들의 준수는 구원에 필요하기 때문이다. 자연법의 규정들을 환기시킴으로써, 교회의 교도권은 사람들에게 그들이 실제로 어떠한 존재인지를 알리며, 하느님 앞에서 어떠한 존재가 되어야 하는지를 일깨우는 예언자적 기능의 본질적인 한몫을 수행한다.82)
  • 2037 교회에 맡겨진 하느님의 법은 신자들에게 생명과 진리의 길을 가르쳐 준다. 그러므로 신자들에게는, 판단력을 맑게 하고 상처 입은 인간의 이성을 은총으로 치유하는 구원에 유익한 하느님의 규정들에 대하여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다.83) 신자들은 교회의 합법적 권위가 채택한 헌장과 교령들을 지킬 의무가 있다. 비록 그런 결정들이 다만 교훈적인 것이더라도, 그 결정들은 사랑으로 순순히 따라야 한다.
  • 2038 교회가 그리스도교의 윤리를 가르치고 적용하는 일에는, 사목자들의 헌신과 신학자들의 지식과, 모든 그리스도인과 선의를 지닌 사람들의 기여가 필요하다. 신앙과 복음을 실천함으로써 각 사람은 ‘그리스도 안에서’ 사는 삶을 체험한다. 그리스도께서는 그를 비추시어, 그가 하느님의 성령에 따라 신적이며 인간적인 사실들을 평가할 수 있게 하신다.84) 이처럼 성령께서는 유식한 사람들과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을 깨우쳐 주시려고 가장 비천한 사람들을 쓰실 수 있다.
  • 2039 교회 직무들은 주님의 이름으로, 형제적 봉사와 교회에 헌신하는 정신으로 수행되어야 한다.85) 아울러 각자의 양심은 자기 자신의 행실에 대한 도덕적 판단에서 자기의 처지만 생각해서는 안 된다. 각자의 양심은 최선을 다해서, 자연법이든 계시된 법이든 간에 윤리법에 명시되어 있는, 따라서 교회의 법과 윤리 문제에 관한 교도권의 권위 있는 가르침에 표현되어 있는 공동선을 지향할 수 있어야 한다. 개인의 양심이나 이성을 도덕률이나 교회의 교도권과 대립시키는 것은 옳지 않다.
  • 2040 이리하여, 그리스도인들 가운데는 교회에 대해 참다운 효심이 깊어질 수 있다. 이 자녀다운 정신은 우리를 교회의 품안에 태어나게 하고 또한 그리스도의 몸의 지체가 되게 한, 세례 은총에서 피어난 정상적인 결과이다. 교회는 어머니다운 정성으로, 우리의 모든 죄를 이기며 특히 화해의 성사를 통해 작용하는 하느님의 자비를 우리에게 베푼다. 자상한 어머니와 같이, 교회는 전례를 통해서 주님의 말씀과 성체라는 양식을 날마다 우리에게 아낌없이 베푼다.
  • II. 교회의 법규
  • 2041 교회의 법규는 전례 생활과 연결되고 또 전례 생활로 자라나는 윤리 생활과 그 맥을 같이한다. 교회의 목자들이 제정한 이 실정법의 의무들은 신자들에게 기도 정신과 윤리적 책임, 그리고 하느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의 성장에 반드시 필요한 최소한의 선을 제시하려는 것이 그 목적이다.
  • 2042 첫째 법규(“주일과 의무 축일에는 미사에 참여하고, 육체노동을 삼가야 한다.”)는 주님의 부활을 기념하는 주일을 비롯하여, 주님과 복되신 동정 마리아와 성인들의 신비를 공경하는 주요 전례 축일들을 거룩하게 지내도록 신자들에게 요구한다. 신자들은 무엇보다도 그리스도교 공동체가 함께 모여 거행하는 성찬례에 참여하여야 하고 이날의 성화를 방해할 수 있는 모든 일과 노동을 삼가고 쉬어야 한다.86)
  • 둘째 법규(“최소한 일 년에 한 번은 자기의 죄를 고백해야 한다.”)는, 회개와 용서라는 세례의 작용을 지속시키는 고해성사를 받음으로써 성체를 모실 준비를 확실하게 하라는 것이다.87)
  • 셋째 법규(“적어도 한 번 부활 시기에 성체를 받아 모셔야 한다.”)는 그리스도교 전례의 기원이며 중심인 부활 축제들과 연결시켜, 주님의 몸과 피를 받아 모시는 최소한의 규정이라도 준수하라는 것이다.88)
  • 2043 넷째 법규(“교회가 정한 날에 금식재와 금육재를 지켜야 한다.”)는 전례 축일에 맞갖게 우리를 준비시키고 본능의 자제와 마음의 자유를 얻도록 돕는 참회와 고행의 시기를 가지라는 것이다.89)
  • 다섯째 법규(“교회의 필요를 지원하여야 한다.”)는 신자들이 저마다 자신의 능력에 따라 교회의 물질적 필요를 지원하여야 할 의무가 있다는 것이다.90)
  • III. 윤리 생활과 선교의 증거
  • 2044 세례 받은 이들의 충실성은, 복음 선포와 세상에서 이루어야 할 교회의 사명 수행을 위한 가장 중요한 조건이 된다. 진리와 빛의 힘을 사람들 앞에 드러내기 위하여, 구원의 메시지는 그리스도인의 생활을 통한 증거로써 그 진실성이 입증되어야 한다. “그리스도교 생활의 증거와 초자연적 정신으로 실천한 선행은 사람들을 하느님과 신앙으로 이끄는 힘이 있다.”91)
  • 2045 그리스도인은 그리스도를 머리로 하는 몸의 지체들이기 때문에,92) 그들의 확고한 신념과 품행으로써 교회 건설에 이바지한다. 교회는 신자들의 거룩함으로 성장하고 확장되고 발전하여,93) 마침내 “성숙한 사람이 되며 그리스도의 충만한 경지에 다다르게 된다”(에페 4,13).
  • 2046 그리스도인은 그리스도를 따르는 생활로써 하느님의 나라, “정의와 사랑과 평화의 나라”94)가 다가오기를 재촉한다. 그렇다고 해서 그들이 이 세상에 대한 책임을 소홀히 하려는 것은 아니다. 그들은 스승에게 충성을 다하면서, 공정과 인내와 사랑으로써 임무를 완수한다.
  • 간추림
  • 2047 윤리 생활은 영적 예배이다. 그리스도인의 행위는 전례와 성사 거행에서 활력을 얻는다.
  • 2048 교회의 법규들은, 전례와 결합되고 전례로 양육되는 그리스도인의 윤리 생활에 관한 것이다.
  • 2049 윤리 문제에 대한 교회 사목자들의 교도권은,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윤리 생활의 원칙을 규정하고 있는 십계명을 바탕으로 하여, 일반적으로 교리 교육과 설교를 통해 행사된다.
  • 2050 진정한 교사로서 교황과 주교들은 믿어야 할 신앙과 윤리 생활에 적용해야 할 신앙을 하느님 백성에게 전한다. 자연법과 이성의 영역에 속하는 윤리 문제에 대하여 그 타당성 여부를 판정하는 것도 그들의 권한이다.
  • 2051 사목자들이 행사하는 교도권의 무류성은, 윤리를 포함해서, 구원을 위한 신앙 진리들을 보존하고 설명하며 지켜 나가는 일에 필요한 교리 조항에까지 미친다.
상단(TOP)으로 바로가기